국내에서 흔히 삐삐라고 불렸고 일본에서 포케베루(ポケベル)라고 불렸던 무선호출기(Pager)는 캐나다의 발명가 앨 그로스(Al Gross, 1918-2000)가 1949년에 발명한 이래로 전세계로 퍼졌습니다. 그리고 국내에서는 1990년대 후반에 급격히 유행했다가 이후 휴대전화가 대거 나오면서 밀리기 시작해 오늘날에는 일상생활에서는 볼 수 없게 되었고 이제는 국내의 경우 서울이동통신만이 한정적으로 이 업무를 취급하고 있을 뿐입니다. 저 또한 써본 경험은 대략 2년 정도였고 그 뒤로는 생각하지도 않았는데, 2024년에 무선호출기가 다시 화제가 될 줄은 생각도 못 했습니다.
레바논에서 운용중인 삐삐가 동시다발로 터졌다고 합니다.
바로 이것이 보도기사입니다. 몇 가지를 소개해 두겠습니다.
레바논 전역에서 운용되고 있는 무선호출기가 동시다발 폭발을 일으켰고, 일단 보도된 것만 하더라도 부상자가 2,800명은 넘는다고 합니다. 얼굴이나 손이나 배 등을 다친 사람이 대부분이고, 9명은 목숨을 잃었습니다. 피해자 중에는 테러조직의 구성원들도 꽤 있습니다. 늘 그렇듯이 이스라엘을 비난하는 목소리가 빠질 수 없습니다. 레바논의 친이란 테러조직 히즈발라(Hezbollah, 헤즈볼라)가 민간인들을 표적으로 삼아 수많은 사람들을 순교하게 만들었다고 하는데, 2023년 하반기에 있었던 그 하마스(Hamas)의 테러에 대해서는 같은 말을 하지 않는 것을 보니 그 발언의 진실성이 어떤지는 더 논할 필요도 없겠습니다.
이스라엘에의 도청을 우려해서 스마트폰 사용금지를 천명했던 그들은, 무선호출기의 통신에 이용되는 30-300MHz 범위내의 전파인 초단파(Very High Frequency, VHF)도 앞으로 쓰지 못할 것 같습니다. 그들의 주장대로라면 이것도 이스라엘에 장악되어서 못 쓸 일입니다. 당장에 단말기 자체가 터져서 아예 물리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는 상황이 널렸는데 답이 있을 리가 없습니다. 그런데 누구도 그 장치를 쓰라고 강요한 적이 없습니다.
아무튼, 2024년에 이렇게 삐삐가 화제가 된다는 게 참으로 놀랍습니다.
그리고 시대와 상황이 어떻든간에 아랍권의 이스라엘 탓은 절대로 변함이 없습니다. 그렇게 변함없이 지켜야 할 것은 무엇이고 또 얼마나 소중한지 저는 이해할 생각도 그 노선에 편승하고 싶을 생각도 없습니다.
다음에는 전서구(伝書鳩)로 쓸 비둘기가 폭발하고 그것도 이스라엘 탓으로 돌릴 것일지, 두고 봐야겠습니다.
여담입니다만, 북한에서는 무선호출기를 "주머니종" 이라고 합니다. 일본어의 포케베루를 그대로 번역한, 참 주체적인 어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