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혈액검사에서 느끼는 "갑의 약은 을의 독"

마드리갈 2024.04.25 17:03:35
이제 퇴원 4개월째를 맞는 시점에서 여러가지를 느끼고 있어요.
종합적인 혈액검사는 2번 있었고 그것과 별도로 매주 2일씩 그리고 하루 4회씩 혈당검사를 실시하고 있어요. 이미 3월 30일에 나온 검사결과에서 모든 지표가 정상인데다 정상범위내의 최소값에 근접해 있을 정도로 상태가 좋지만 이것으로 안심하고 있지만은 않아요(퇴원 이후 한 분기의 결과는 "모두 정상" 참조).

매주 실시하는 혈당검사는 자가측정에 의존하고 있어요. 이건 시판되는 기기를 이용해서 채혈검사하면 되니까 직접 가능한 것이죠. 손가락을 찔러서 피를 나오게 하는 과정도 이제는 능숙하게 할 수 있는데다 이전보다 혈행 자체가 매우 원활해지고 혈섹 또한 맑은 게 느껴지고 있어요. 혈중 글루코스(Glucose) 농도의 목표치는 공복의 경우 130mg/dL, 식후 2시간의 경우 180mg/dL로 지금껏 자가측정한 결과에 따르면 공복은 84-116의 범위내에 그리고 식후 2시간은 106-232의 범위내에 있어요. 180을 넘긴 사례는 7건 있었어요.

여기서 얻은 교훈이 "갑의 약은 을의 독(One man's meat is another man's poison)" 이라는 영어 유래의 격언으로 요약가능해요. 즉 개인에 따라 그게 약이 되는지 독이 되는지가 선명하게 차이가 있어요.
병원에서 배부받은 자료에서는 한식과 일식이 대체로 혈당관리에 유리하고 양식과 중식이 좋지 않다고 나와 있긴 해요. 그 경향성이 전부 잘못되었다고 부정하고 싶은 생각은 없지만 그것이 절대불변의 금과옥조(金科玉条)도 아닌 것을 퇴원 후 여러 가지 식사를 하면서 경향성을 파악했어요.
기름을 많이 사용하면 한식이나 일식이라고 해도 혈당관리에 불리하긴 마찬가지인데다 한식 중 전이나 찌개 같은 것들이 특히 혈당치를 급격히 올린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게 되었죠. 또한 감자를 이용한 요리의 경우는 정반대로 튀긴 쪽이 유리하고. 그리고 혈당관리를 이유로 육류를 기피하는 경향도 세간의 상식과는 달리 대안이 아닐 뿐더러 또한 잘못된 결과로 귀결될 수도 있어요.

그러면 고혈당이 좋지 않으니 저혈당이 바람직할까요?
그건 또 아니예요. 저혈당은 쇼크로도 이어질 수 있어서 더 위험하거든요.
사실 병원 입원생활 중에 저혈당 쇼크가 몇 번 있긴 했어요. 그때는 매일 혈당을 검사했고 그것도 하루 7번이라서 손가락이 남아나지 않을 정도인데다 그 이외에도 인슐린을 대거 주사받아야 했고. 확실히 개선되기는 했지만 수회 저혈당 쇼크가 와서 간호사가 급히 저를 깨워서 단 음료를 억지로 마셔야 했던 것도 기억나네요. 단 음료를 마시는 편이 아닌데 이럴 때 도움이 되었다는 것도 역설적이예요. 혹자는 그런 것들을 건강의 적 취급하지만 저는 오히려 저혈당 쇼크 상태의 해소로 도움을 받았으니...

이야기가 길어졌지만, 그러해요.
건강관리는 일회성일 수 없고,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서 최적의 답을 찾아가는 일상의 반복이라는 것이 명백해요. 그리고 그 과정에서 무엇이 약이고 무잇이 독인지를 철저히 알아 놓는 게 매우 종요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