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후반에 나온 과학도서에는 원자력발전의 연료를 확보하는 여러 기술적 도전에 대한 것도 많이 다루고 있었습니다. 그 중에는 투입한 우라늄(Uranium)보다 더 많은 플루토늄(Plutonium)을 생산하는 고속증식로(高速?殖?, Fast Breeder Reactor)라든지 천연우라늄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가압중수로(加?重水?, Pressurized Heavy Water Reactor) 같은 것도 있었고 그것 이외에도 해수광업(海水?業, Seawater Mining) 같은 것도 있었습니다.
해수에 녹아 있는 우라늄의 질량은 해수 1리터당 3.3마이크로그램(μg)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해양의 총면적이 361,000,000평방km이고 평균심도가 3,688m인 것을 이용하면 지구상의 해수의 체적은 대략 1.331368*1018입방m 정도가 되고 1입방미터가 1,000리터이니까 우라늄의 용존량은 44억톤에 육박할 정도로 많습니다. 그래서 이것들을 회수할 수만 있다면 핵연료 수급문제는 확실히 해결가능하다는 것이 복안이었고 실제로 연구도 많았습니다. 특히 일본에서는 1960년대부터 연구가 이루어져 있고 회수되는 우라늄 1kg당 비용은 25,000엔 정도 됩니다. 이밖에도 인도, 중국, 핀란드,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폴란드 및 스웨덴에서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런 것들을 읽어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아직은 경제성 문제로 인해 본격적인 상업적인 레벨에 도달해 있지는 않습니다만 이 우라늄 추출은 앞으로 꽤 유의미한 산업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런데 우라늄이 이렇게 해수에 많이 그것도 십억톤 단위로 녹아 있는데 왜 그럼 이전부터 수산물을 먹지 말자는 말은 안 나왔던 것인지. 그게 참 신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