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실제 사용으로 검증해 본 ChatGPT의 여러 맹점

마드리갈 2023.05.10 22:55:43
저도 요즘 화제의 ChatGPT를 사용해 봤어요 봤어요.
이 챗GPT라는 것이 논리적인 추론도 꽤 하고 있어요. 이를테면 이런 질문들.

질문
정육면체 달걀

ChatGPT의 답변
정육면체 달걀은 현실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 개념입니다. 달걀은 보통 둥근 형태를 갖고 있으며, 닭이나 다른 동물이 낳는 알의 형태를 말합니다. 달걀은 외부를 둘러싼 단단한 알갱이와 내부에 액체와 눈꺼풀, 노른자, 단백질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달걀은 일반적으로 둥근 형태를 가지며, 정육면체로 형성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정육면체 달걀"은 현실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 개념이므로, 비유적이거나 상상 속의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합니다.

질문
21세기 출신 부모에게서 태어난 19세기 출생 자녀

ChatGPT의 답변
21세기 출신 부모에게서 태어난 19세기 출생 자녀는 기술적으로는 불가능합니다. 19세기 출생은 1801년부터 1900년 사이를 말하는 것이고, 21세기 출신은 2000년 이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부모의 출생 연도가 21세기인 경우에는 그들이 19세기에 태어난 자녀를 가질 수 없습니다.
위의 상황은 자연스러운 시간적인 흐름에 맞지 않습니다. 현실적으로는 한 세대의 부모가 그들의 자녀를 가질 때에는 부모들과 자녀들이 비슷한 시대에 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21세기 출신 부모로부터 태어난 자녀는 21세기 또는 이후에 출생한 것으로 예상됩니다.

사실 두번째 질문의 답이 엄밀히는 21세기가 2001년부터 시작하는 것을 틀리는 등의 자잘한 오류가 있지만 이미 19세기의 정의는 바로 하고 있으니까 이건 금방 극복될 문제로 보이긴 해요.

이렇게 보면 챗GPT가 상당히 유능하게 판단하고 있기는 해요. 하지만 여기서 변칙적인 질문을 하면 헛소리를 하죠.
분명 여러 문헌에도 나오다 보니 면밀히 찾으면 알 수 있는 것을 이렇게 틀려 버리죠.

질문
영어를 모국어로 쓰지 않은 미국 대통령

ChatGPT의 답변
미국 대통령 중에서 영어를 모국어로 쓰지 않은 대통령은 없었습니다. 모든 미국 대통령은 대부분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며, 공식적인 문서 작성, 연설, 커뮤니케이션 등에서 영어를 주로 사용합니다. 미국은 영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하고 있으며, 대통령이 대통령 직무를 수행할 때 영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 답변이 맞아 보이긴 하지만 실제로 미국의 제8대 대통령인 마틴 반 뷰런(Martin Van Buren, 1782-1862)은 네덜란드계 이민자의 후손으로 네덜란드어를 모국어로 썼고 사실상 미국의 공용어인 영어는 제2언어로서 사용했어요. 그래서 챗GPT의 답변은 틀렸어요.

그리고 또 하나.

질문
프랑스를 대표하는 소 품종인 아르덴느

ChatGPT의 답변
아르덴느(Ardennes)는 프랑스에서 유래한 소의 품종 중 하나입니다. 이 품종은 주로 프랑스 아르덴느 지역에서 기르기 때문에 그 이름이 붙었습니다. 아르덴느 소는 대형이며, 강인한 체격과 강력한 근육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르덴느 소는 농업 및 가축업에 이용되며, 과거에는 농경 지역에서 농사 일과 수송 업무에 사용되었습니다. 이들은 특히 강력한 힘과 내구성으로 유명하며, 농경용 장비를 끌거나 무거운 짐을 운반하는 데에 적합합니다.
또한, 아르덴느 소의 적절한 체격과 육질은 육용 목적으로도 사용됩니다. 이들의 고기는 풍부하고 질이 좋으며, 맛과 품질이 인정받고 있습니다.
프랑스를 대표하는 소 품종 중 하나로 아르덴느 소는 프랑스 농경문화와 가축업의 중요한 부분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사실 이 설명은 아르덴느라는 품종의 가축에 대한 설명이 맞지만, 실제로는 아르덴느는 말의 품종이죠. 그래서 일견 맞게 보이지만 결과적으로 헛소리를 해 놓은 꼴이 되었어요.

아예 질문 자체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소리 없는 소리를 마구잡이로 쏟아낸 경우도 있어요.

질문
선문대할망의 무덤은 평양에 있다

ChatGPT의 답변
선문대할망(鮮文大草墓)은 평양시에 위치한 조선 시대의 중요한 무덤 중 하나입니다. 이 무덤은 조선 왕조의 유적으로, 조선시대에 권력을 가진 왕과 귀족들의 묘역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선문대할망은 선문대로도 알려진데, 선문은 조선 왕조의 왕들이 통치하던 장소로, 현재의 평양 북서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선문대할망은 선문에서 근처에 위치한 조선 왕조의 무덤으로서, 다양한 왕과 귀족들의 무덤이 이곳에 있습니다.
선문대할망은 조선 왕조의 역사와 문화적인 중요성을 지닌 유적지로 알려져 있으며, 관광객들에게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평양시에서 방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유적지 중 하나입니다.

선문대할망은 제주도 설화에 나오는 인물이라서 평양과는 전혀 상관없는데다 인용한 한자도 독음이 틀려 있어요. 한자표기가 된 부분의 독음은 선문대초묘인데 이것도 어디에서 나온 것인지...

문맥을 이해하지 못하는 답변도 하고 있어요.

질문
연장자인 존속을 양자로 들일 수 있는가

ChatGPT의 답변
"연장자인 존속을 양자로 들일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합니다. 양자 이론이나 물리학의 관점에서 저희에게 어떤 내용을 질문하고자 하시는지 자세히 설명해주시면, 보다 정확한 답변을 제공해 드릴 수 있습니다. 양자 이론은 물리학의 분야 중 하나로, 물리적 시스템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 하지만 "연장자인 존속"이라는 용어나 개념은 제가 알고 있는 한, 흔히 사용되는 용어가 아닙니다.
따라서, 양자 이론이나 물리학 관련 주제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해주시거나 다른 문맥을 제시해주시면, 그에 맞게 적절한 답변을 제공해 드릴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질문에 나오는 양자는 연장자(年長者) 및 존속(尊属)이라는 어휘에서 봤을 때는 양자(養子)이지 물리학의 양자(量子)가 아니라는 건 사람은 추론할 수 있죠. 그러나 챗GPT는 추론하지 못해서 물리학 어쩌고를 말했는데, 사실 민법 제877조의 내용이 "존속이나 연장자를 입양할 수 없다" 라서 아예 지식 자체가 갖추어지지 않았다는 게 이렇게 드러났어요.


분명 사람이 쓰는 듯한 상당히 자연스러운 문장을 구사할 정도로 기술력이 진보한 것도 사실이지만, 변화구를 던지면 정말 맥없이 당해서 Artificial Intelligence가 아니라 Artificial Insanity 내지는 Artificial Idiot이 될 수도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