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충무공탄신일에 생각난 이순신 폄하의 역사

SiteOwner 2023.04.28 23:46:47
4월 28일은 충무공탄신일.
충무공 이순신(李舜臣, 1545-1598)이 한국사의 영웅일인 것은 물론 세계사적으로 보아도 가장 위대한 해군제독인 것은 기정사실입니다. 물론 논란도 있을 수 있겠습니다만 있더라도 지극히 지엽적이거나 아예 무시해도 좋을 것들.

그 중 북한에서 이순신을 폄하하는 이유가 있었습니다.
이순신은 양반계급 출신으로 봉건왕조의 이익에 충실했던 반동분자였을 따름이지 계급혁명과 인민해방을 추구한 사람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순신은 폄하되어야 할 대상이라는 것이었습니다. 대신 북한에서 높게 평가하는 인물 중에는 고구려의 온달(温達, 590년 사망)이 있습니다. 이유인즉 무산계급 출신으로 장군이 되었다는 것인데, 고구려가 인민공화국이었던 건가 봅니다? 온달이 활동하던 시대는 칼 마르크스(Karl Marx, 1818-1883)도 블라디미르 레닌(Владимир Ленин, 1870-1924)도 아직 태어나려면 1300년 전후는 지나야 할 시점이었습니다.

1990년대 전반 국내의 일각에서 있었던 이순신 폄하풍조도 있었습니다.
북한의 시각을 그대로 수입한 것도 있었고 원균(元均, 1540-1597)을 명장으로 평가하면서 이순신을 격하하는 움직임도 있었습니다. 그것 말고 또 기억나는 것으로는, 박정희(朴正熙, 1917-1979)가 민족의 성웅으로 부각시킨 인물이니까라는 이유가 있었습니다. 박정희가 부정되어야 할 독재의 유산이니까 당연히 이순신도 그렇게 역사에서 폐기해야 한다는 것이 예의 주장이었습니다. 일본인이 존경하는 한국사의 인물이니까 이순신이 친일파라는 주장도 있었습니다. 그렇게 따지면 안중근(安重根, 1879-1910)을 존경하는 일본인도 있으니 안중근도 친일파겠군요.

그나저나 요즘은 그렇게 주장하는 경우를 못 봤습니다.
그렇게 자랑스러운 주장이면 30년도 넘게 일관되게 유지해야 하는 게 아니겠습니까. 그런데 왜 그러지 않는 것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