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서 중국으로 팬더를 돌려보낸다는 소식이 자주 들리고 있죠.
그것도 중국에서 태어난 팬더 이외에도 일본에서 태어난 개체까지. 전혀 이해되지 않았던 이 사안에 대해서 "모든 팬더는 중국에 소유권이 있다" 라는 걸 알고 적잖게 당황하기도 했어요.
조금 더 들여다볼께요.
중국 이외의 국가에 있는 팬더의 현황은 이렇다고 하네요.
이미지 출처
사육도 번식도 극히 힘들고 유지비도 많이 드는 팬더는 어디서 태어났든간에 중국의 소유물.
그나마 코로나19 판데믹 이전에는 팬더를 보러 오는 관람객들이 많았으니까 사정이 나았지만 관람객 수가 격감한 지금은 극소수의 동물을 위해 터무니없이 많은 돈을 지출할 여력 자체가 없고 언젠가는 중국에 반환해야 하는 상황이니 이 참에 영원히 중국으로 돌려보내는 게 이익일 공산이 확실히 커졌어요.
게다가 요즘의 중국외교는 먼저 싸움을 거는 이른바 전랑외교(戦狼外交). 이러니 조기반환을 하는 국가들이 속속 나타난다고. 이건 생각도 못했는데 과연 그렇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런데 자신들의 것이 자신들의 수중에 들어오면 좋아해야 할 중국이 왜 핀란드의 팬더 조기반환을 굴욕으로 받아들이는 것인지 그게 이상하네요.
팬더의 소유권이 모두 중국에 있는 것도 이상하지만 중국의 것이 중국에 돌아가는 게 중국에게 굴욕으로 여겨진다는 건 더 이상하죠. 그래도 어쩔 수 있나요. 그들이 선택한 길인데, 그들이 알아서 해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