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소설가 나리타 료고(成田良悟, 1980년생)의 대표작 듀라라라(デュラララ!!)는 소설 자체로도 큰 인기를 모았음은 물론 애니도 인기를 끌었는데 그 애니에는 러시아인 캐릭터가 최소 7명 등장하는 것으로도 이채롭죠. 남성으로는 러시아스시(露西亜寿司)라는 일식당 관계자로서 데니스라고 불리는 점주 겸 주방장을 담당하는 백인, 사이먼 브레즈네프라는 영어와 러시아어가 섞인 이름의 호객담당 직원인 러시아계 흑인, 신사적인 태도를 가진 백인 거한인 이고르, 2미터 이상의 초장신 근육질 거한인 슬론(=코끼리), 무기공급 상사의 사장인 린기린 도그라니코프 및 후술하는 바로나의 아버지 드라콘이, 여성으로는 드라콘의 딸인 미녀 라이더인 바로나(=까마귀)가 있어요. 모두 일본의 도쿄 북서부 부도심인 이케부쿠로에서 활동하는 러시아스시의 관계자인 러시아인이면서 어떻게든 용병 및 무기상과 엮여 있다는 것이 상당히 기묘하게 느껴지고 있어요.
그런데 문제는 이게 그냥 소설 및 애니에서 끝난 게 아니라 엉뚱하게도 시리아에서 비슷하게 일어났다는 것이죠.
바로 이것이 러시아인이 시리아의 북서부 이들립(Idlib)이라는 도시에 개업한 스시점 사무라이.
이미지 출처
(이슬람 과격파, 스시점 개업 반체제파지배지역 - 시리아, 2023년 4월 2일 지지통신 기사, 일본어)
이 스시점을 개업한 사람은 이슬람 샤프바노프라는 37세의 러시아인으로 카스피해 서안의 최남단 지역인 다게스탄 공화국 출신이예요. 그는 성전(聖戦, 지하드)에 참여하겠다고 2015년에 시리아에 입국했고 2018년까지는 전선에서 전투를 수행했다고 해요. 그리고 그는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등지에도 체재한 경력이 있고 반체제 무장저항세력에 소속된 뒤로는 터키나 리비아에도 파견되었다고 하네요. 그야말로 무슬림 월드의 각국을 이렇게 전전하다가 결국 머무른 곳은 반체제 무장저항세력의 지배하에 있는 이들립.
터키와 상당히 인연이 많은지 식재료는 터키에서 들여오고 있고 음식값도 터키리라로 받고 있어요. 캘리포니아롤 1줄에 60터키리라(=400엔, 한화환산 3,940원). 
이것이 조리장면.
출처는 위의 사진의 것과 동일하니 생략할께요.
그리고 같이 일하는 사람들 2명도 러시아인이라네요. 터키와 시리아를 강타한 대지진에도 무사하고 점주는 시리아인 여성과 결혼해서 두 딸도 태어났다죠. 하지만 그가 지하드를 완전히 포기한 것은 아니라고.
듀라라라의 설정이 말도 안된다고 생각하기에는 세계는 역시 넓어요. 러시아스시가 듀라라라에서는 일본에 있지만 현실세계에서는 시리아에 있는 게 다를 뿐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