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H3 로켓에 주어진 과제

SiteOwner 2023.02.17 20:29:03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및 미츠비시중공업이 개발한 새로운 2단식 대형로켓인 H3로켓이 2014년 개발 시작 끝에 9년의 기간을 거쳐 오늘 처음으로 발사될 예정이었지만 고체부스터엔진이 점화되지 않아서 원인의 분석 및 해결이 남아 있습니다. 일단 현단계에서는 3월 10일까지의 재발사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도해가 있으니 같이 소개해 두겠습니다.

K10013983201_2302171433_0217145831_01_04.jpg
이미지 출처
「H3」初号機 組み立て棟に戻し打ち上げ中止の原因究明へ
(H3 이상을 검지하고 발사중지 내달 10일까지의 발사를 목표로, 2023년 2월 17일 NHK, 일본어)

문제는 메인엔진인 LE-9가 가동된 뒤에 로켓 양측에 부착된 고체부스터 SRB-3가 이어 작동될 예정이었습니다만 그 이행과정에 이상이 감지되었던 것입니다. 1단 제어용기기에서 착화신호가 송신되어 고체부스터로 전달되어야 할 것이 송신되지 않았고 결국 발사는 중지되었습니다.

일본의 우주개발의 주축에는 H-IIA/B 로켓이 있었습니다.
물론 이 로켓도 훌륭한 것입니다. 그러나 기존의 H-IIA 로켓의 회당 소요비용인 85-120억엔보다 크게 저렴한 50억엔대 비용으로 발사가능하면서 H-IIA의 롱코스트 정지이행궤도로의 발사가 가능한 최대탑재량인 2,900kg(고체부스터 2개)/4,000kg(고체부스터 4개)보다 비약적으로 향상된 6,500kg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물론 우주항공분야가 시행착오의 연속에 의해 노우하우를 쌓아가는 게 많으니 처음에 바로 성공하지 못했다고 실망하거나 폄하할 수는 없고 그래서도 안됩니다. 그러나 해결해야 할 것이 여럿 있습니다. 이것 말고도 결국 채산성 문제로 프로젝트 자체가 종료되어 버린 미츠비시 스페이스제트(Mitsubishi SpaceJet, 이전 MRJ) 등으로 손실을 많이 본 것도 있다 보니 H3 프로젝트 밖의 현안을 해결해야 하는 것도 있고 또한 중요 프로젝트로서 병행추진중인 저소음 초음속민항기 기술(Silent supersonic transport technologies, 영어) 같은 것도 절대 버리거나 소홀히 할 수 없다 보니 이런 것들에 어떻게 대처해 나갈지가 관건입니다.

다음달을 기다려야 할 것 같습니다.
H3 로켓 프로젝트의 진전을 확인하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