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주요 목재수출국 하면 어떤 나라가 떠오르나요?
대체로 면적이 넓은 국가들을 떠올릴 것이고 열대지방의 국가 아니면 냉대-한대지방의 국가가 대부분일 것이라고 생각하기 쉬워요. 그러나 그 상식이 반드시 사실에 부합하는 것만은 아니예요.
국제연합(UN) 산하의 식량농업기구(FAO)에서 요약해 둔 통계자료를 보면 의외의 국가들이 이름을 올리고 있어요.
Forest product statistics, 식량농업기구 자료, 영어
2020년 기준의 각종 목재 및 가공품 수출 상위국가를 부문별로 정리하면 이렇게 되어요.
연료
- 에스와티니 (9%)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9%)
- 프랑스 (9%)
- 크로아티아 (8%)
- 라트비아 (8%)
- 스페인 (7%)
- 네덜란드 (5%)
- 리투아니아 (5%)
- 남아프리카 (5%)
산업용 통나무
- 뉴질랜드 (16%)
- 체코 (14%)
- 러시아 (12%)
- 독일 (9%)
- 미국 (5%)
- 캐나다 (4%)
- 호주 (4%)
- 폴란드 (3%)
- 노르웨이 (3%)
숯
- 인도네시아 (16%)
- 미얀마 (9%)
- 나미비아 (7%)
- 폴란드 (6%)
- 우크라이나 (5%)
- 멕시코 (4%)
- 나이지리아 (4%)
- 베트남 (4%)
- 인도 (4%)
- 쿠바 (4%)
- 파라과이 (3%)
- 필리핀 (3%)
- 벨기에 (3%)
목재펠렛 및 각종 집성물
- 미국 (23%)
- 베트남 (11%)
- 캐나다 (10%)
- 러시아 (8%)
- 라트비아 (8%)
- 덴마크 (3%)
- 에스토니아 (3%)
- 오스트리아 (3%)
- 독일 (3%)
각재
- 러시아 (21%)
- 캐나다 (17%)
- 스웨덴 (9%)
- 캐나다 (7%)
- 핀란드 (5%)
- 오스트리아 (4%)
- 미국 (4%)
- 벨라루스 (3%)
합판
- 베트남 (19%)
- 러시아 (12%)
- 캐나다 (11%)
- 중국 (9%)
- 가봉 (5%)
- 미국 (4%)
- 브라질 (4%)
- 우크라이나 (3%)
- 태국 (3%)
판재
- 중국 (14%)
- 캐나다 (8%)
- 러시아 (7%)
- 독일 (7%)
- 태국 (7%)
- 브라질 (4%)
- 벨라루스 (4%)
- 폴란드 (4%)
- 인도네시아 (4%)
- 오스트리아 (3%)
- 프랑스 (3%)
- 루마니아 (3%)
- 벨기에 (3%)
- 터키 (3%)
펄프
- 브라질 (25%)
- 캐나다 (14%)
- 미국 (11%)
- 인도네시아 (8%)
- 칠레 (7%)
- 핀란드 (6%)
- 스웨덴 (6%)
- 우루과이 (4%)
- 러시아 (4%)
재생지
- 미국 (32%)
- 영국 (9%)
- 일본 (7%)
- 프랑스 (5%)
- 네덜란드 (5%)
- 독일 (5%)
- 이탈리아 (4%)
- 캐나다 (3%)
- 벨기에 (3%)
종이 및 골판지
- 독일 (12%)
- 미국 (9%)
- 스웨덴 (8%)
- 핀란드 (7%)
- 캐나다 (5%)
- 인도네시아 (5%)
- 중국 (4%)
- 오스트리아 (3%)
- 러시아 (3%)
- 벨기에 (3%)
- 프랑스 (3%)
- 이탈리아 (3%)
이렇게 요약된 결과, 어떤가요?
제품군별로 수출상위권 국가가 각각이라는 것이 드러나고 있어요.
그리고 면적이 좁은 국가라도 여기에 이름을 올리고 있는 것이 드러남은 물론 재생지는 선진국들의 독무대인데다 종이 및 골판지 분야에서도 선진국들이 꽤나 강하다는 것도 드러나고 있어요.
그리고 또 눈여겨볼만한 것이 한국의 부재.
우리나라의 고도성장기를 이끈 산업 중에는 목재산업도 있었죠. 그러나 이제는 어느 품목에서도 우리나라가 상위를 차지하는 일이 없게 되었어요. 수입국의 지위에서는 산업용 통나무, 숯, 목재펠렛 및 각종 집성물, 판재 및 펄프 분야에서 상위권이지만...
여러모로 생각해 볼 게 많네요, 이 간단한 요약자료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