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이번의 카타르 월드컵이 특히 인기를 끄는 4가지 이유

마드리갈 2022.12.05 14:42:32
축구에는 꾸준히 관심있는 편이었지만 그렇게 강하지는 않았죠.
그리고 포럼이 개설된 이래로 2014년의 브라질 월드컵 및 2018년 러시아 월드컵이 있었지만 그때는 경기 중계방송의 시청도 그리 많지 않았는데다 포럼에서의 언급도 별로 많지 않았죠. 하지만 이번의 2022년 카타르 월드컵은 그 두 대회들과는 뚜렷이 다른 점이 보이고 있어요. 특히 높은 인기를 끄는 것이 보이는데 그 이유를 이렇게 분석해 봤어요.

일단 주요 쟁점을 꼽아 볼께요.
첫째, 겨울의 A매치(국가대항전)라는 특이점
둘째, 축구 단일종목으로 치뤄지는 국제경기의 네트워크 효과
셋째, 국가간 실력의 상향평준화
넷째, 코로나19 판데믹 상황하이지만 유관중 노마스크로 개최되는 최초의 전세계적 스포츠행사

이렇게 요약해 볼 수 있겠요.

스포츠 경기의 주기를 생각해 볼 때 야구는 봄-가을의 경기, 축구 등의 실외경기나 농구, 배구 등의 실내경기는 대체로 겨울-봄의 경기로 대체로 월년개최인 것이죠. 즉 겨울-봄의 경기는 시즌 중간에 해가 바뀌는 것인데 이 기간 중의 국가대항전 스포츠행사는 많지 않아요. 그나마 동계올림픽의 경우에도 이 계절에는 다소 이르고 기온이 연중 최저를 기록하는 2월에 시작하는 게 일반적이었고 1월에 시작하더라도 대체로 2월까지 기간이 이어지고 그랬죠. 11-12월의 A매치란, 그것도 전세계적인 것이란 확실히 이례적이다 보니 화제를 집중시키기에 충분하다고 봐야겠어요.
또한 올림픽이나 세계선수권과는 달리 월드컵은 축구 단일종목이죠. 그리고 축구는 규격을 만족하는 경기장과 선수단과 공이 갖추어지면 되는 것이고 경기관람을 위해 알아야 할 규칙도 비교적 적은 편이죠. 사실 축구는 오프사이드(Offside)를 알면 규칙을 거의 이해하고 있다 싶을 정도. 그래서 관심사가 집중되기에 가장 유리한데다 진입장벽도 다른 스포츠에 비해 비교적 낮은 편이다 보니 이것으로 네트워크 효과가 커지는 것이죠. 즉 넓은 저변이 선순환을 이룬다는 거예요.
이번에 특히 주목할만한 것으로는 각국별 실력이 어느 한 국가가 완전히 압도적이지 않을 정도로 상향평준화되었다는 점이 있어요.
전통적으로 축구는 유럽 아니면 남미. 그래서 아시아의 축구강호라도 약체로 평가되는 일이 흔했어요. 그러나 이번은 그렇지 않아요. 동북아시아의 축구강국인 우리나라, 일본 및 호주가 모두 16강에 진출했는가 하면 축구 후발주자인 미국도 16강에 진출했고, 그 이전에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아르헨티나를, 일본이 독일과 스페인이, 우리나라가 포르투갈을 이긴 극적인 이변이 이어지기도 했으니까요. 반면 전통의 축구강호인 이탈리아와 스웨덴과 오스트리아는 예선에 탈락해서 이번 월드컵에는 모습을 보이지조차 못했으니...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코로나19 판데믹 상황하에 열렸지만 이전의 월드컵과 거의 비슷한 형태로 개최된 이번 대회.
무슬림 월드의 카타르인만큼 주류판매가 봉쇄되었다든지 인구가 적은 소국인 터라 숙박문제도 결코 좋다고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속출해 있는 월드컵이긴 하죠. 그래도 유관중 경기인데다 마스크 착용을 하지 않아도 되니까 이렇게 답답하고 끝날 줄 모르는 이 상황에서 일종의 해방구가 되고 있는 것도 부인할 수 없으니까요.

이제 자정이 지나면 큰 경기 2건이 동북아시아를 흔들게 되어요.
0시에는 일본-크로아티아의 경기. 크로아티아는 2018년 러시아 월드컵의 2위 국가이기도 하죠.
4시에는 한국-브라질의 경기. 월드컵 최다우승 실적이 말하는 자타공인 축구 최강국인 브라질과의 월드컵 첫 공식전이기도 해요.
과연 이 두 경기에서 어떤 드라마가 쓰여질지도 기대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