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전격 침략한지도 6개월 반을 넘은 시점.
러시아군의 각종 차량에서는 여러 글자가 보였는데, 신기하게도 러시아어의 키릴문자가 아니라 로마문자였어요. 그 중 가장 많이 보이는 것이 Z였고 그것 이외에도 V 같은 것도 적은 빈도로 보이고 있어요.
왜 Z가 많이 보였는지는 추측이 많았지만, 확실히 밝혀진 것은 러시아 국방부가 3월 3일 인스타그램을 통해서 밝힌 어원. 그 어원상으로는 Z가 기본적으로 "승리를 위하여" 라는 의미의 러시아어 어구인 "자 파볘두(За победу)" 를 의미하고 있어요.
바로 이런 식으로 흔히 보이죠.
그리고 이것은 군용차량의 도색은 물론이고 러시아의 수호성인 성 게오르기우스를 상징하는 성 게오르기우스 리본(Георгиевская ленточка)의 색채로 표현되기도 했어요. 게다가, "스보이흐 녜 브로사옘(Своих Не Бросаем)" 이라는 문구가 첨부된 채로. Z의 의미에 저 추가된 문구를 합쳐 읽으면, "승리를 위하여 우리는 포기하지 않는다" 라는 의미가 되어요.
이렇게 러시아가 Z를 대대적으로 쓰다 보니 Z는 러시아어의 문자가 아니면서 러시아를 대표하게 되었고 또한 세계적으로 미움받고 있어요. 과거 나치독일의 하켄크로이츠(Hakenkreuz)의 원래 이름인 스와스티카(Swastika)에 Z를 합쳐서 즈와스티카(Zwastika)라고 할 정도로.
게다가 Z를 로고나 상품명에 쓰는 기업이 풍평피해를 입기도 하고 있어요.
대표적인 경우가 스위스의 보험회사인 취리히보험그룹(
공식 웹사이트, 영어). 이외에도 일본의 Z홀딩스(
공식 웹사이트, 일본어) 같은 기업이라든지, 미국의 IT기업 HP의 워크스테이션 브랜드인 Z(
공식 웹사이트, 영어), 일본의 스포츠카인 닛산 페어레이디Z(
공식 웹사이트, 일본어) 같은 예가 있어요. 게다가 미국의 창작물 캐릭터 조로(Zorro)의 상징이 칼을 세 번 휘둘러 만든 Z이다 보니 러시아의 남용 이후로는 떨떠름하게 안 보일 수가 없게 되었어요.
Z를 많이 쓰는 독일어가 같이 떠오르네요.
그간 친러노선에 과의존했던 독일은 전체 가스수요의 55%를 러시아에 의존했죠. 그리고 그 대가는 독일의 국가적 에너지비상에 직면한 현실 및 과거 친러성향 지도자들에 대한 성토. 독일의 미래(Zukunft)를 파괴(Zerstören)할 수 있는 게 결국 Z를 표방하는 러시아인가 하는 생각까지 같이 들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