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비판이 죄악시되는 사회상이 정착한다면

마드리갈 2022.02.11 21:31:32
최근 수년간의 상황을 되짚어보면 확연히 느껴지는 게 있어요.
지금 이 사회가 비판을 죄악시하는 게 아닌가, 그리고 그 사회상에 대해서 별다른 의문을 가지지 않게 되는 게 아닌가.

물론 비판 그 자체가 그다지 유쾌한 것이지만은 않죠. 특정대상을 비판하는 과정에서 그 대상에서 느끼는 부정적인 감정도 있고 비판받을 경우에는 자신의 일부 또는 전부가 부정당하는 것같이 느껴지기도 하니까 비판이 경계의 대상이 되는 것은 그 자체로 인지상정이라고 할 수 있어요. 하지만 그렇다고 비판을 죄악시할 수만은 없어요.
비판 그 자체에서도 비판을 방어하거나 재반론하는 것에서도 배우는 것이 많고 그만큼 성숙할 수 있게 되니 비판은 여러모로 유용해요. 게다가 자연과학이든 사회과학이든 과학의 발달에서는 비판이 필수적인 것이다 보니 비판이 자유롭게 보장되어야 하는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을 거예요.

비판이 죄악시되면 제대로 정교하게 비판하는 것도 떨어지게 되죠.
이렇게 되면 비판과 비난은 혼동되고, 상대를 일단 모욕하고 보는 비난이 비판을 대체해 버려서 배우는 것은 없이 그저 상대를 모욕하고 죽이는 데에만 혈안이 되는 난장판이 벌어지거나 이것이 싫으면 그냥 떠나 버리는 일이 횡행하겠죠. 실제로 대학가에서 누군가를 악마화하여 편파적인 여론몰이를 하는 게 오랜 기간동안 횡행했고, 이제는 사회전반적으로 이렇게 저렇게 말은 많은데 건전한 논의 대신 말싸움만 횡행하는 사태까지 와 있어요.

나중에는 이런 사태까지 가는 게 아닐까요?
침묵도 하지 말고 무조건 맹목적으로 지지하라는 담론이 지배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