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개최된 도쿄올림픽의 개막식 중계에서 우리나라의 공영방송 MBC가 보여준 타국비하사태는 언론이 얼마나 추해질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건이었죠(MBC의 도쿄올림픽 개막식 중계에서 보였던 것 참조). 그런데, 이게 단지 MBC의 문제에 한정되어 있기만 할까요? 그건 아니라고 봐요. 단지 MBC가 독보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일으켰을 뿐, 별로 다를 바 없는 "예비공동정범" 은 도처에 있을 것임이 보이고 있어요.
그 첫번째 근거는 언론의 논조.
선수나 지도자의 활약을 그 자체를 칭송하기보다는 꼭 잔혹한 표현을 골라쓰는 것.
이를테면 이런 것이죠. "조국에 비수를 꽂았다", "동료에 비수를 꽂았다" 같은 것들.
비수(匕首)란 칼날과 칼자루 사이의 경계가 되는 코등이가 없는 단도를 말하는 것이죠. 이것은 은폐하기 좋아서 암살용으로 잘 쓰이는 흉기인데, 꼭 이런 표현을 골라서 써야 하는 걸까요.
이런 사례가 있어요
셔틀콕 지도자 한류의 역풍…강경진 中 코치, 제자들에 비수[올림픽], 2021년 7월 31일 연합뉴스 기사
일단 기사제목 자체가 "한류의 역풍" 과 "제자들에 비수" 라는 증오표현으로 점철되어 있어요.
그리고 본문에서는, 중국의 여자 배드민턴 국가대표의 지도자로 활동중인 한국인에 대한 소개가 있는데 읽고 있다 보면 무슨 매국노같은 존재인 양 서술하는 함의가 읽히고 있어요. 이게 과연 정상적인 논조일까요? 국적이고 뭐고 떠나서 그들에게는 직장이고, 그들은 그들의 직장에서 최선의 결과를 냈을 뿐이예요. 그리고 그 업무내용은 어디까지나 스포츠일 따름이지 그게 위법하거나 도덕적으로 비난받아야 할 종류의 것도 아니죠.
이 논리를 받아들일 경우에 이 현상은 어떻게 설명할까요?
감독 어깨에 손을 ‘턱’… 라바리니, 그는 대수롭지 않아 한다, 2021년 8월 4일 조선일보 기사
우리나라의 여자배구 감독은 이탈리아인. 그러면 그는 이탈리아에서 매국노로 매도되어야 하는 걸까요? 그리고 외국인 지도자를 맞이한 배구팀이 비난받거나 달성한 결과도 폄하되어야 할까요?
그리고 두번째 근거는 일단 매도하고 보자는 군중심리.
한일전 후 “반민족행위자” 비난… 고우석·양의지 댓글창 사라졌다, 2021년 8월 5일 조선일보 기사
이것을 보면서 언론만 탓할 수 없다고 결론을 내릴 수밖에 없었어요.
스포츠에서 이길 수도 질 수도 있는 것을 갖고 반민족행위자 운운하는 데에서 이미 답이 없어요. 게다가 증오와 폄하의 인프라가 이렇게도 잘 구축되어 있는 것이 보이죠. 이런 사람들이 정책결정권자 중에 전혀 없거나 그 부류에는 절대로 들어가지 않는다는 보장도 없는 이상, 이렇게 매도부터 하고 보는 심리는 언제든제 제2, 제3의 MBC 사태를 만들고도 남을 거예요.
그럼 왜 이런 일이 계속 벌어지는 것일까요?
일단 3가지 논점으로 요약할 수 있겠어요.
첫째, 자신의 존재를 자신 대신 타자에게서 찾는 풍조가 팽배해 있다.
둘째, 생각없이 감정에만 호소하는 무지성 내지는 반지성적인 행동양식이 난무한다.
셋째, 정치극단주의, 진영논리 등에 물들어 있다.
이 세 논점을 종합해 보면 그런 것이죠.
스스로 무엇을 하겠다, 무엇을 해냈다는 건 어떻게 되든 상관없고, 그저 누군가를 찾아서 마구잡이로 두들겨 팰 수만 있으면 행복하다는 것. 그러니 외국에서 활동하는 스포츠 지도자, 성적이 부진한 국가대표 선수, 언론인 등 누구라도 걸리면 그때 불구대천의 원수 취급을 하면 되는 것이죠. 이런 행동에 지성이 있을 리도 없는데다 모든 것이 정치적으로 판단될 뿐이죠. 이런 것이 스포츠에 국한될까요? 멀리 갈 것도 없이, 국내정치, 사회문화, 국제관계 등의 영역에서 난무하고 있어요. 그러니 국가의 지도자를 뽑는 대선을 앞두고 특정 유력후보의 배우자를 허무맹랑한 헛소리로 모욕하고, 그런 반인권적인 작태에 대해서 인권의식은 선택적으로 작동할 뿐이죠.
결국, MBC 타국비하사태의 예비공동정범은 지금도 충실히 키워지고 있어요. 어떠한 제동도 걸리지 않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