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뉴스] 버나드 메이도프 사망 + 지갑 되찾음

Lester 2021.04.15 08:38:41

[다음] 미 교도소서 사망한 사상 최대 폰지 사기범 메이도프




2008년 금융 위기(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당시 폰지사기로 최대 650억 달러를 사기친 버나드 메이도프가 교도소에서 자연사했다고 뉴스가 나왔네요. 만약을 위해서 폰지사기가 뭔지 설명하자면 "아랫돌 빼서 윗돌 괴기"로, 신규 참여자의 자금을 쪼개서 기존 참여자의 배당으로 돌리는 형태입니다. 그러나 신규 참여자의 수는 한정되어 있고 실제 참여율도 꾸준히 증가하진 않기 때문에 어느 시점에선 들통나게 되는데, 이 '들통'이 나기 전에 나눠주지 않았던 원금(기존 참여자 원금 - 신규 참여자 배당금 = 먹고 튈 수 있는 돈)을 들고 도망가는 수법입니다. 국내에서는 조희팔 사건이 가장 유명하죠. 닳도록 읽어댄 일본 사기 만화 "검은 사기"에서는 폰지사기가 전형적인 패턴으로 등장하던데 그만큼 유명한 시스템이란 의미겠죠.


메이도프 사건에 대해서는 자세한 건 모르겠지만, 그나마 이 사람이 150년형이라는 '사실상 사형'을 받았다는 점이 통쾌하네요. 그의 두 아들이 아버지의 사기행각을 몰랐다가 세상의 질타를 이기지 못하고 사망(정확히는 장남은 자살, 차남은 암이 악화돼 사망)했다는 건 좀 슬프지만요. 사기꾼들은 전형적으로 "돈이 없어서 배상할 수 없다"며 뻐기면서 은닉자금을 피해자들에게 돌아가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메이도프는 워낙 규모를 불리다 돈이 없어서 자수했다고 합니다만 글쎄요...? 피해자를 늘리는 단계에서 받은 원금이 분명 있을 터이고, 교도소에 적응할 때 마피아 조직의 도움을 받았다고 한 걸 보면 피해자들의 돈이 어디로 흘러갔을지는 대강 감이 잡힙니다. 증거가 없어서 그렇지. 이런 패턴으로는 유명한 '신의 은행가' 로베르토 칼비가 있는데, 최대주주인 교황청을 내세워 유령회사에 부정대출을 해준 혐의가 있다가 자살로 처리된 타살을 맞이한 인물입니다(위키백과 한글판). 워낙 미스테리한 사건이라 음모론의 단골 소재로도 사용되었고, 유명한 작품들도 이 사건을 지나가듯이 다루기도 했습니다. 영화 "대부 3"에서 카인직이란 스위스 은행사가 똑같은 행보와 죽음을 맞이하죠.


이렇게 지구상에서 또 한 명의 악인이 모습을 감췄습니다만 그 악행은 정리하기 힘들다는 점에서, 세상에 보이지 않지만 아직도 거대한 무언가가 암약하는 것 같아 무섭기도 하고 씁쓸합니다.


--------------------------------------------------------


이 이야기는 언젠가 하려다 깜박했는데, 참 재미있게도 지난달(3월)에 제가 살던 전주의 교외지역 경찰서에서 전화가 왔습니다. "당신의 지갑을 찾았다"고 말이죠. 당시에 전주 시내 버스인가 정류장인가에서 잃어버리고 버스회사에도 전화하고 미친듯이 뒤지다가, 결국 경찰서에 분실신고서를 내고 낙담한 상태였습니다. (그 당시 심정은 이 글에 남아 있네요) 그래서 그 이후론 지갑도 새로 만들고 겨우겨우 잊고 있었는데, 늦잠을 자서 비몽사몽하던 차에 경찰서에서 전화가 왔더니 식겁했지만 사연을 알자 기분이 좋으면서도 황당하더군요. "선행은 돌고 돌아 보답을 받는다"는 말이 생각이 나면서도 '내가 그런 보답을 받을 만큼 선한 사람이었나' 하는 생각이 들었고, 결과야 어쨌건 감사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현금은 9만원 가량 들어있었던 것 같은데 당연히(?) 사라져버렸고, 그나마 카드나 신분증 같은 건 쓸데가 없었는지 온전히 들어 있더군요. 아무튼 세상에 의(義)가 남아 있다는 점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