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20년도 드디어 끝을 고했군요. 솔직히 저 자신에게도, 사회적으로도 그리 긍정적인 해는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2021년은 좀 더 좋은 일만 가득하기를 바랍니다.
2. 아트홀에서 쓰고 있는 “시프터즈”의 연재 주기가 줄어든 이유는 사실 다른 작품을 쓰려고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시프터즈"는 제가 세운 기준으로 일종의 실패작이거든요. 그런데 그쪽 진행은 잘 되질 않는군요. “시프터즈”가 제 취향을 담아서 쓴 거라면, 다른 건 그냥 흔한 내용으로 써볼까 하는데 잘 되질 않아서 고민입니다.
3. 기왕 시프터즈 이야기를 한 김에 조금만 더 이야기를 해보자면, 사실 시프터즈의 주요 등장 인물의 이름은 전부 패러디입니다. 대충 이런 식이에요.
그레고르-프란츠 카프카의 "변신"의 주인공 그레고르 잠자.
에스텔-에우슈리의 에로게 "히메가리 던전 마이스터"의 히로인 에스텔.
오드리-영화 "흡혈식물 대소동"에 등장하는 흡혈식물.
그리고 특히 4대 가문은 공포 영화 살인마들에서 따왔습니다..
소여 가문: 공포 영화 "텍사스 전기톱 학살"의 살인마 가문 소여 가.
보어헤스 가문: 공포 영화 "13일의 금요일"의 살인마 제이슨 부히스의 성 "부히스"를 살짝 틀어서 사용.
크루거 가문: 공포 영화 "나이트메어" 시리즈의 살인마 프레디 크루거.
마이어스 가문: 공포 영화 "할로윈" 시리즈의 살인마 마이클 마이어스.
그 외에도 많은 패러디들이 있습니다.
4. 실패작 때문에 다른 글을 쓴다고 하다보니 최근 애니메이션인 "아픈 건 싫으니까 방어력에 올인하려고 합니다."가 생각났습니다.
이 애니메이션의 원작 라이트노벨이 꽤 기묘한 뒷배경이 있거든요.
해당 작품의 작가는 사실 이전 작품을 5화 만에 연중당했습니다. 인기가 없었거든요. 충격을 받은 작가는 머리를 식힐 겸 "그냥 뻔한 클리셰로 대충 써볼까?" 라고 생각해서 글을 씁니다. 그게 바로 "아픈 건 싫으니까 방어력에 올인하려고 합니다."입니다.
이러다보니 작중 설정은 정말 대충한 것에 가깝고, 내용도 편의주의적인데다가 클리셰 범벅입니다. 그런데 이게 역으로 적용합니다. 이걸 읽은 독자들이 "부담없이 편하게 읽기 좋다"라고 생각하고 호평했거든요. 그 때문에 작품은 대박이 나고, 애니화까지 되기에 이르렀습니다. 이에 작가 역시 당황했다고 하더군요. 세상 일이라는 건 참 알 수 업습니다.
5. 애니메이션 하니 생각나는 건데 오랜만에 애니메이션 하나를 정주행했습니다.
해당 애니메이션은 바로 “켄간 아슈라”.
넷플릭스를 통해 스트리밍되는 애니메이션으로 현재 파트 2(총 24화)까지 볼 수 있습니다.
아래의 영상은 넷플릭스 공식 예고편입니다.
작품을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바키” 같은 일종의 초인 격투물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마법이나 기 같은 오컬트적인 설정은 없지만, 비현실성이 강한 격투기라고 할까요? 다만 “바키”의 경우 기술보다는 신체 능력이 더 중요시된다면, “켄간 아슈라”는 기술 쪽이 더 중요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거기에 특유의 기괴한 그림체 때문에 호불호가 갈리는 “바키”와는 달리 캐릭터들이 미형인 편이기도 하고요.
여담인데 이 “켄간 아슈라”는 같은 작가의 작품인 “덤벨 몇 킬로까지 들 수 있어?”와 세계관을 공유합니다. 예를 들어, “덤벨 몇 킬로까지 들 수 있어?” 의 등장 캐릭터인 쿠레 야크샤는, “켄간 아슈라”에 등장하는 암살자 가문인 쿠레 일족의 일원입니다. 덤으로 쿠레 야크샤의 딸인 쿠레 카루라(예고편에서 후드를 쓰고 웃는 캐릭터)가 “켄간 아슈라”에 히로인으로 나오기도 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