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7년 9월 18일에 발사된 소련의 첩보위성 코스모스 954(Космос 954)는, 이듬해인 1978년 1월 24일에 캐나다에 추락했습니다.
사실 우주공간에서 지상으로 물체가 떨어질 경우 아주 곱게 조용히 떨어지라는 법은 없습니다. 대기권 진입시 마찰열에 의해 유성이 만들어지는데, 다 소진된다면 그나마 문제가 없습니다만, 소진되지 않는다면 큰 문제가 벌어집니다. 이미 2013년 러시아 첼랴빈스크에서 발생한 운석낙하사건으로 수천명이 부상을 입고 건물 수천동이 피해를 입은 것을 생각해 보면, 소진되지 않은 우주물체의 낙하가 얼마나 심각한지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문제의 코스모스 954는 원자로를 탑재한 인공위성이었고, 이것이 캐나다의 북서준주(Northwest Territory) 내에 추락하면서 문제가 심각해졌습니다.
소련에서는 이 인공위성이 재돌입과정에서 다 소진되었다고 주장했으나 캐나다와 미국의 공동수색결과 거짓임이 드러났습니다. 수습된 잔해는 12개인데 그 중 10개는 방사능을 띠고 있었습니다. 사람을 죽일 수 있을 정도의 것도 있었습니다만, 그 방사능의 양으로 판단해 볼 때 탑재된 원자로의 핵연료의 일부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즉 핵연료 대부분은 어디 간 지 알 수도 없었다는 것.
캐나다와 미국의 공동수색 대상면적은 남한 면적의 1.24배 정도. 만일 그 첩보위성이 우리나라에 떨어졌다면 그 뒤는 상상하고 싶지 않습니다. 게다가 코스모스 954가 원자력위성의 유일한 추락사례도 아니었습니다.
문제는, 러시아가 개발중인 신개념 무기가 이런 코스모스 954의 악명을 재현하기에 부족함이 없는 끔찍한 물건인 것.
9M730 부레베스트니크(Буревестник, 슴새)라는 이름의, 또는 나토(NATO, 북대서양조약기구) 보고명 스카이폴(SSC-X-9 Skyfall)로 불리기도 하는 원자력추진 크루즈미사일. 이것은 항속거리가 사실상 무한대로 계속 공중에서 비행하면서 지령을 받는 즉시 목표물에 명중하는 방식의 것. 탄두가 일반탄두라도 원자로를 탑재한 것이라서 낙하지점의 방사능 오염은 피할 수 없습니다. 게다가 공기저항이 거의 없는 우주공간에서와 달리 대기권을 비행하기 위해서 설계된 물건일만큼 원자로의 출력도 더 높을 것도 예상됩니다.
이것은 2018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발표한 6가지의 신전략무기 중의 하나로, 기술적으로 가능한 것인지 말도 많았는데다 2019년 러시아 서부의 세베로드빈스크에서의 폭발사고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등 문제가 많았습니다만, 이 무기의 개발은 사실로 판명되었고 2025년에 취역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제, 언제 어디서 쏘았는지 모를 9M730 부레베스트니크 미사일이 갑자기 머리 위에 떨어질 날이 머지 않았습니다.
이름인 부레베스트니크에서도 걱정이 안 될 수가 없습니다.
이것은 슴새(Petrel)의 러시아어로, 슴새는 날개가 길고 활공능력이 탁월하지만 지상에 내릴 때에는 날 때만큼 우아하지는 않습니다. 특히 슴새과의 신천옹(Albatross, 알바트로스)은 착륙하면 정말 바보같이 구르고 엎어지고 하는 게 일상일 정도로 유명합니다. 하고 많은 이름이 하필이면 부레베스트니크라니, 정말 떨어지는 곳을 헤집고 박살내서 복구조차 못하게 만드는 게 아닌가 무섭습니다.
이 기사를 같이 읽어보셔도 좋습니다.
UK Chief of Defence Intelligence Warns of Capability of Russia’s Burevestnik Missile (2020년 9월 13일 스푸트니크 인터내셔널,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