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항공모함 전력이 급성장했습니다.
소련시대 말기에 쿠즈네초프급 2번함으로서 건조되던 바르야그(Варяг)가 공정률 68% 시점에서 소련해체를 맞아 자금난 및 정치혼란으로 우크라이나의 니콜라이예프 조선소에 방치되어 있었다가 중국이 해상 테마파크 건립 목적으로 구입 후 개수를 거쳐 배치한 것이 요령(遼寧). 그래서 이것은 1985년 착공, 2011년 준공 및 2015년 취역이라는 완성까지의 30년의 긴 역사를 거쳐 최근 5년동안 중국의 군사력 확대의 현장에 등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작년인 2019년에는, 위의 요령과 거의 동일하지만 기존함정의 개수가 아닌 신규건조인 산동(山東)이 취역해 있습니다. 건조기간이 2013년에서 2019년으로, 길긴 하지만 이전의 요령에 비하면 대폭 짧아졌고, 중국의 항공모함 운용경력이 일천한 것을 생각하면 1번함 요령의 운용에서 데이터를 충분히 취득해서 반영했다고는 볼 수 없고, 양적 확대 및 운용기술축적을 동시에 추진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2척 체제를 완성한 중국해군은 처음으로 두 항공모함을 한 기동훈련에 같이 등장시켰다고 합니다. 그것도 발해만 및 서해에서, 지난주에 훈련을 수행하였습니다. 아직 남중국해 같은 원양에 투입하기에는 역량이 충분치 않아서일 수도 있습니다만, 확실한 것은 중국의 성장세가 절대 얕볼 수 없다는 것.
복수의 항공모함을 운용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게다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로 현재까지 계속 꾸준히 복수의 항공모함을 운용해 온 나라는 손에 꼽을 정도로 적습니다만, 그 대열에 중국이 합류하고 있습니다.
이 글은 아래의 기사를 바탕으로 작성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