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때부터 겪었던 것들을 떠올려 보자면, 남자의 모발에 관한 제 지론은 이것입니다.
"남자의 모발에는 자유가 없다."
이를테면 이런 것이지요.
머리숱이 많아지기 위해서라는 이유로, 남자아이들이 삭발을 당하는 건 흔히 있었습니다. 그 삭발이 정말 증모에 효과적인지는, 검증되지 않은 속설의 차원에 머물러 있다 보니 신빙성 문제는 논할 필요도 없겠습니다만...
그나마 유년기에는 그나마 자유가 가장 많이 주어진 시기겠지요. 중학생이 되면서부터는 남자의 모발은 세계의 적이라도 된 것같이 박해받습니다. 특히 머리를 기르면 공부를 못한다고, 그러니까 스포츠머리를 하든지 삭발하든지 하면 가장 좋은 것이라고.
중학생 때 그런 이야기를 들으니까 바로 의문이 들더군요. 그러면 짧은 머리의 남학생은, 어떤 경우든지 공부를 가장 잘 하는 여학생보다도 반드시 학과성적이 높은 것인지. 교사에게 그렇게 물어봤다가 가위로 입을 찢길 뻔했습니다.
게다가, 저처럼 모발색이 완전히 검은색이 아닌 경우에는 특히 그 박해는 심해집니다.
혼혈 의혹도 받는 등 인종차별도 있고, 염색, 불량 논란 등에도 늘 시달리기 마련입니다. 특히, 어떨 때에는 검게 보이더라도 직사광선에 노출되면 갈색빛이나 붉은빛이 두드러지는 경우라면 있는 욕 없는 욕을 다 들어야 하는 것은 정해진 수순.
대체 모발의 길이와 색이 뭐가 문제되는 것이며, 인간의 능력이 모발의 길이와 색에 좌우된다고 믿는 근거가 어디에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살아 오면서 그런 근거를 내 놓으면서 두발단속을 하는 건 일절 못 봤습니다. 처음으로 모발 관련의 합리적인 규제근거를 들었던 것이 군생활 때, 적에게 모발을 잡혀서 기습공격에 목숨을 잃는 등의 전술상의 불리한 점 제거 및 위생유지의 이유를 말해주는 미군들의 설명이었으니까 그 이상은 말을 더 해봤자 무슨 소용이 있나 싶기도 합니다.
간혹 이 나라가 정말 죽음을 각오하고 단발령에 저항한 역사를 가진 나라가 맞나 싶습니다.
그러고 보니 성향이라는 것도 고정불변은 아닌 것이군요. 이런 풍조는 또 언제 옛 이야기가 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