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세 영단어의 안쪽 이야기 - 스웩, 사이폰, 그루브

SiteOwner 2018.11.22 19:58:17
이번에는 재미있는 세 영단어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볼까 싶습니다.
스웩(Swag), 사이폰(Siphon/Syphon), 그루브(Groove).

먼저 스웩부터.
사실 발음기호나 외래어표기 등을 엄밀히 따지면 "스왝" 내지는 "스왜그" 로 쓸법하지만 이건 일단 차치하지요.
스웩이라는 단어는 의외로 오래 된 것으로, 영국의 대문호 윌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 1564-1616)가 만든 어휘. 그리고 시대에 따라 의미가 변해 왔습니다. 18세기에는 장물을 의미하기도 했고, 현대에는 주로 힙합 뮤지션들이 즐겨쓰는 개념으로서의 자기과시 등으로 많이 통용됩니다. 호주에서는 이 단어가 휴대용 간이숙영세트를 뜻합니다.
또한 이 단어는 백크로님(Backronym), 즉 역 두문자어가 되기도 합니다. 경제저널에서는 Silver, Wine, Art and Gold의 대문자 부분을 따서 SWAG이라고 부르는데, 귀금속과 와인과 미술품이 상류층의 절세투자에서 각광받는 아이템인 점과, 현대에서 자기과시의 의미로 쓰이는 스웩이 잘 어울려서 재미있게 보입니다.

그 다음에는 사이폰.
이것은 기압차를 이용하여 한 용기 속의 액체를 다른 용기로 쉽게 옮길 수 있는 도구로, 20세기 후반에는 주로 석유 등의 액체를 다루는 도구로 통용되었습니다. 요즘에는 이게 커피메이커의 한 종류를 부르는 어휘로 더 많이 쓰이는가 봅니다.

끝으로 그루브.
그루브라는 어휘가 음악 관련에서 쓰일 때는 크게 두 부류로 나뉩니다.
일단 물리적인 그루브는 78rpm SP, 33⅓rpm LP, 45rpm EP 등의 아날로그 레코드판에 새겨진 홈.
그런데 요즘은 이 의미보다는 음악에서 느껴지는 감각을 묘사할 때 주로 쓰입니다. 사실 요즘의 음악감상에서 아날로그 레코드는 몇몇 오디오파일들에 한정된 미디어이고, 요즘은 CD 등의 물리적인 디지탈 미디어는 물론, 각종 포맷의 음악파일 등 무형의 디지탈 음원이 널리 쓰이는 시대이다 보니 그루브라는 어휘는 본래의 의미대로라면 사어가 될 운명이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음악에서 느껴지는 리듬감, 고양감, 감동 등의 요소 등의 개념을 의미하면서 새로이 생명을 얻었습니다. 그래서 그루브 있는 음악 하면 표현력이 돋보이는 등 멋진 음악 등을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위의 세 어휘를 돌아보니, 현대인들이 크게 의식하지 않고 쓰는 어휘가 미래에는 또 어떤 의미를 담아서 다시 생명력을 얻을지가 벌써 기대되기까지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