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관련으로 여러 가지가 생각났길래 일단 써 봅니다.
회상에 의한 것이라서 정보에 한계가 있음을 미리 알려 드립니다.
1990년대를 풍미했던 PC 브랜드가 갑자기 생각납니다.
과거 인터넷이 없고 PC통신은 전국에 사용자가 겨우 수만명이었던 그 시절, 월간 컴퓨터잡지나 어쩌다 구할 수 있었던 회사 발간의 카탈로그 등이 어떤 컴퓨터가 구입가능한지를 알 수 있었던 매체였습니다.
지금 생각나는 브랜드 몇 가지를 열거해 보면 대략 이런 게 기억납니다.
일단 국내계 브랜드로는 이 정도.
- 삼성전자 - SPC 1000/2000/3000 등, SPACE, 알라딘, SENS 등
- 금성사(현 LG전자) - PC파트너, 한글랩탑, 심포니, XNOTE 등
- 대우통신 - 프로엘리트
- 대우전자 - X2(8비트 MSX), IQ1000(16비트 XT)
- 아프로만 - 한국일보 발행 월간지 학생과학의 독자행사 경품 협찬업체
- 달리만듦 - 컴퓨터세대 등의 잡지에 텍스트 형식의 광고를 낸 업체로, 타 브랜드 대비 평균 25만원 정도 높았음
- 라스트 컴퓨터 - 1990년대 전반의, 검은색 본체케이스 및 고품질로 꽤 유명했던 브랜드
- 선경컴프라자 - 세진컴퓨터랜드 이전에 등장했지만 별 존재감 없이 퇴조
- 세진컴퓨터랜드 - 공격적인 점포확장으로 선풍을 일으켰지만 구체적인 판매모델은 기억나지 않는 상태
- 삼보컴퓨터 - 체인지업, 에버라텍 등
- 뉴텍컴퓨터
- 오케스트라
외자계 브랜드는 이 정도가 생각납니다.
- 매킨토시 - 미국 애플의 제품군은 과거 엘렉스컴퓨터를 통해 국내판매
- 에이서 - 대만 에이서의 트래블메이트 노트북 제품군
- IBM(현 레노버) - IBM 씽크패드(한때는 LG-IBM 씽크패드도 존재)
- NEC - PC9801(용산 별백컴퓨터라는 총판에서 취급했다고 잡지에서 읽은 적 있음)
- HP - 한때 삼성휴렛팩커드(SHP)라는 합작법인 시대가 있었음
- 게이트웨이
- 제니스
- MiTAC
- 소니 - HITBIT
- 왕 컴퓨터 - 1993년작 미국 영화 Dave에서도 언급되는 브랜드
- 올리베티 - 당시 존재를 알고 있었던 유일한 이탈리아 PC 브랜드
그리고 또 생각나는 것으로는 옛 학교의 컴퓨터실 사정.
하여튼 컴퓨터는 어디에서 사 모았는지 많긴 많았습니다. 처음으로 접한 게 아직 국민학교 취학전이었던 1983년이었고, 그 동네가 열차는 비둘기호밖에 서지 않는데다 버스도 하루에 몇 번 없는 외진 곳이지만 한 학년에 한 반만 있던 국민학교에 컴퓨터실이 있었고, 모노크롬 모니터, 테이프드라이브를 장비한 키보드-본체가 일체형의 MSX 8비트 컴퓨터가 일단 10여대 정도는 비치되어 있었습니다.
그런데 국민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때의 컴퓨터실의 컴퓨터는 늘 반 정도는 꼭 고장이 나서 쓸 수 없는 상태였습니다. 대학 때에도 일단 신입생 때 그랬는데 복학해 보니 컴퓨터실의 컴퓨터 중 고장나 있던 것은 10대에 1, 2대 가량.
이렇게 돌아보니 세월이 정말 무서운 속도로 바뀌었다는 게 실감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