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전에 이미 폭염이 바꾸어 놓은 것들이라는 제목으로 글을 한 편 썼는데, 1994년 이래 최악의 폭염이라는 2018년 올해의 상황에 또 달라진 게 있어서 이번에는 그것들 위주로 글을 간단히 써 보도록 할께요.
우선 이 기사를 하나 보도록 해요.
폭염의 긍정효과 "주폭마저 더위 먹었다" (조선닷컴 2018년 8월 5일 기사)
저 기사를 요약해 보도록 하죠.
첫째, 너무 더워서 주취폭력의 사례 자체가 감소.
둘째, 모기 개체수 급감.
셋째, 빠른 건조, 가족간의 대화기회 증대, 폭염 속 배달특수 등.
넷째, 불경기 속의 호황.
역시 더위가 극단화되니까 더위 자체를 피하려고 하는 경향이 강해져서 이렇게 행동양식 자체가 변해 버리네요. 상황이 행동을 결정하고, 그리고 그 행동이 상황을 변화시키는 일련의 순환이 이렇게 발생하다니, 생각할수록 흥미롭네요.
게다가 2년 전의 그 폭염 상황과 같은 일이 올해에도 여전히 반복되고 있고...
그러고 보니, 모기가 확실히 적네요.
모기에 물리는 체질이 아니라 그다지 주의를 기울이지 못했는데, 모기의 번식과 생육 자체가 저해될 정도라니...
이틀 후에는 입추가 시작되고, 곧 소나기 소식과 태풍 소식이 있을 거라니까 이 더위도 역사의 저편으로 물러나겠어요.
날씨는 변할 수 있어요. 그리고 언제나 변하기 마련이고.
하지만 건강은 유지되어야겠죠.
이 여름이 끝날 때까지 온열질환 등에 고생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겠고, 또한, 이번 여름에 온열질환으로 고통받거나 유명을 달리하신 분들을 위해서 잠깐 묵념할 수 있는 여유도 가져야겠어요.
뜨거운 여름의 정점인 8월의 첫 휴일도 이렇게 저물어가네요.
그리고 내일은 내일의 태양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