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르켐은 전통적인 인간의 자연 인식(과학)을 논하면서 인간은 '관념을 통해 자연을 바라본다' 고 한다. 왜냐면 선사시대일적, 인간이 대자연 속에서 살아남으면서 그렇게 학습했기 때문이다. '호랑이는 나를 잡아먹는다. 나쁜 짐승이다.' 라던가 '저 풀은 불에 구워서 먹으면 맛있어진다. 저 열매는 생으로 먹으면 달다. 좋은 것.' 이런 식으로 말이다. 이런 형식의 관념을 통해 과학을 보는 건 종교를 대표적으로 예를 들 수 있겠다. 예를 들자면 종교가 사회를 지배했던 중세 유럽에서 동물학은 '펠리컨은 자기 먹이를 토해내어 새끼에게 주는데, 이는 예수님의 사랑과도 같다.' 나, '늑대는 양떼를 잡아먹는데, 이는 사탄의 행동과 같다.' 식의 해석이 주를 이뤘다. 이러한 인식은 분명 어느 정도 사실에 영향을 받거나 논리의 전개에 사실을 사용하지만, 결과적으로 사실보다는 학자 개인의 사상적 관점이나 당시의 시대적 상황에 더 중시하게 된다. 본말전도가 될 수 밖에 없다는 얘기다.
뒤르켐은 특히 이러한 경향은 점성술과 연관이 깊었던 물리학에 더 깊이 나타났다고 덧붙이면서, 자연과학마저 이런데 사회과학은 또 어떻겠냐고 덧붙인다. 그러며 그는 그 당시 있던 사회학적 이론들을 비판하는데, 대표적으로 콩트와 스펜서, 그리고 애덤 스미스를 위시한 '정치 경제학' 을 비판한다. 뒤르켐은 우선 콩트를 논하며 그의 논리가 '역사 발전의 과정' 을 연구하면서 '진화의 질서' 를 찾는데 주력이 되어있다고 말하며 이러한 '질서' 를 찾는 과정은 결국 관념적이라는 것을 지적한다. 또한, 그의 이론대로면 모든 사회구조는 그 사회구조 전의 사회구조와 근본적으로 약간의 발전점만 있을 뿐 차이가 없어야 되지만, 그렇지 않다는 것 역시 지적한다. 앞의 사회는 그 전 사회와 약간의 차이점을 공유하지만, 근본적으로 다른 사회라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뒤르켐의 칼날이 향한 곳은 스펜서이다. 뒤르켐은 스펜서가 콩트의 개념을 거부했지만, 역시 그 조차도 같은 오류를 범하고 있다고 지적한다.’사회는 병존과 더불어 협동이 있어야만 형성될 수 있다. ‘라는 논리로 모든 게 시작되기에, 논리를 진행하면 할수록 사회가 무엇인지가 아닌, 스펜서의 사회에 대한 관념이 더 명확해지는 결과만 낳아버리는 결론을 낳게 되어버린다. 그는 그 뒤 정치경제학 쪽으로 비판을 확대시켜 간다. 정치경제학자들은 자신들의 대상이 ’사회적 사실이며, 그것의 목표는 부의 획득, 창출에 있다‘고 스스로를 자평한다. 그러나 이들의 부에 대한 욕망이 정말로 우세하게 작용하는 영역이 있다고 생각하고 그것을 증명하려면, 그것은 굉장히 충분한 설명이 있어야 한다. 이것은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들은 논리를 전개하기에 앞서 '논리의 이유' 가 아닌 '논리가 전개되는 마땅함' 을 먼저 논하고 있다. '어째서 이러냐' 가 아닌, '마땅히 이래야 한다' 를 논하고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뒤르켐은 경험론자 들도 자신들이 그렇게 비판하는 합리론자들과 똑같이 '관념' 으로 세상을 정의한다며 비판하면서, 베이컨이 '우상' 이라는 개념을 통해 선입견을 비판했듯이 사회학을 연구하려면 이러한 편견을 먼저 버리라는 것이 첫 번째라고 지적한다.
에....그냥 학교에서 과제 겸 해서 써본 글인데 여기 분 들은 어찌 생각해볼까....해서 써서 올려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