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신칸센차량 형식에 대한 간단한 해설

마드리갈 2018.05.08 11:40:39

오늘은, 간만에 철도 관련 이야기를 해볼까 싶네요.

내용은 제목에서 밝혔듯이 신칸센차량에 대한 간단한 해설.

마키님의 글에서 힌트를 얻어서 이 글을 쓰게 되었음을 밝혀요.


세계최초로 실용화된 고속전철인 일본의 신칸센은 1964년 개업 이래 여러 형식의 차량이 취역해 있고, 퇴역한 차량도 2018년 기준으로 이미 5종 있어요. 기본적으로 차량형식은 일본국유철도 여객철도차량의 형식명에 잘 쓰이는 방식인 3자리수 계열로 명명되어요. 일단 일본국유철도 체제가 유지되었던 1987년까지는.


일본국유철도 시대에 취역한 차량은 다음과 같아요.


0계 (1964년-2008년)

100계 (1985년 - 2012년)

200계 (1982년 - 2013년)

여기서 주목할 점은, 시간상의 등장순서는 0계 → 200계 → 100계인데 차량형식상으로는 순서가 뒤집어진다는 점. 이 전통은 당분간 이어져서, 0계를 제외하고 후속하는 100계, 300계, 500계, 700계처럼 100의 자리가 홀수인 경우는 원칙적으로 도카이도-산요신칸센 계통, 200계와 400계처럼 100의 자리가 짝수인 경우는 원칙적으로 도호쿠/죠에츠신칸센 계통의 차량으로 명명되었어요.

전기방식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두 계통은 아예 대응되는 전기규격이 다른 별개의 구간이고, 실제로 신칸센의 기종점인 도쿄역에서도 두 계통은 물리적으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어요.


일본국유철도가 해체되어 1987년 4월 1일부터 발족한 JR체제에서도 당분간은 저 차량형식이 유지되었는데...


300계 (1992년 - 2012년)

500계 (1997년 - )

400계 (1992년 - 2010년)

이렇게 신칸센을 운영하는 JR의 3개 회사가, 일단은 일본국유철도의 차량형식 명명의 전통을 유지하나 싶었어요. 그리고, 400계 다음으로 내놓을 JR동일본의 새로운 신칸센차량은 600계가 될 예정이었는데, 그렇게 되지는 않았어요.


JR동일본은 1994년 이후에 발표한 신칸센차량에서는 일본국유철도의 전통을 따르지 않고, 독자적인 차량형식을 사용하게 되어요.


E1계 (1994년 - 2012년)

E2계 (1997년 - )

E3계 (1997년 - )

E4계 (1997년 - )

E5/H5계 (2011년 - )

E6계 (2013년 - )

E7/W7계 (2014년 - )


한편, 도카이도신칸센 운영사인 JR도카이, 산요신칸센 운영사인 JR서일본 모두 일본국유철도의 차량형식 명명방식을 계승하고는 있지만, 여기에도 약간 작은 변화가 일어나게 되어요. 게다가 새로이 JR큐슈가 신칸센 운영사가 되면서 변화는 더욱 확연해졌어요.


700계 (1999년 - )

N700계 (2007년 - )

800계 (2004년 - )


이렇게, 신칸센차량의 형식은 JR로 이행하면서 JR동일본의 독자적인 명명방식 창안, JR도카이, JR서일본 및 JR큐슈의 운용차량에서의 부분적인 차량형식 변경 등으로 변화를 이어왔어요. 앞으로는 도카이도-산요-큐슈신칸센 계통에서 N700S계, 리니어노선인 츄오신칸센에서 L0계가 상용운전을 시작할 예정이니 차량형식의 변화 또한 다채롭게 발전할 것이 예측되고 있어요.


이 글이 신칸센차량의 형식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면 좋겠어요.

그리고 이 글을 쓰게 된 계기를 제공해 주신 마키님께도 별도로 감사의 말씀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