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만에 에너지 관련으로 좋은 소식을 하나 소개하고 싶어서 글을 쓰고 있어요.
제목에서 밝힌 것처럼, 폐플라스틱에서 난방유를 생산하는 국내기업이 있고, 기술력 또한 높아서 여러모로 기대되고 있어요.
2018년 4월 17일 조선비즈의 기사를 읽어보기로 해요.
폐플라스틱에서 난방용 기름 뽑는다 "올해 매출 100억 목표"플라스틱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가스를 생성하고 그 가스를 냉각시켜 기름으로 변환하는 기술 자체는 이미 세계 주요국가들이 사용하고 있지만, 기사에 소개된 국내기업 에코크레이션은 독자적으로 개발한 기술로 양질의 기름을 고효율로 생산가능한 점에서 특히 주목할 만해요. 원료의 질량 대비 80%라는 수율은, 단순비교는 어렵지만, 석탄액화 등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기술인 피셔-트롭쉬 공법(Fischer-Tropsch Process)의 현실적인 수율이 탄소 기준으로 25-50%, 열효율 기준으로 50% 정도인 것을 감안할 때 비상히 높기에 이 국내기업의 기술적 성과는 분명 주목할만하고, 또한 이 국내기업의 괄목할만한 성장도 기대되고 있어요.
요즘 플라스틱 폐기물 대란 등 여러 문제도 발생하고 있고, 에너지자원의 확보가 어느 때보다도 더욱 중요해지는 이 때에, 이렇게 국내기업이 높은 기술력으로 폐플라스틱을 연료로 변환하여 발전해 나가고 있는 건 분명 좋은 일임에 틀림없어요.
올해 초에 쓴 글인
개똥이 만드는 재생가능 에너지에 거는 기대에서 언급한 사항에 이어, 이번에는 이렇게 국내기업이 고효율 플라스틱 유화기술까지 개발하고...이렇게 기술이 발전하고 있어요.
저 기업의 고성장과 에너지기술 및 정책의 발전, 모두 달성되기를 바라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