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Remember, it's Russian 3. 러시아 산업의 개성적 면모

마드리갈 2018.04.18 16:31:42

Remember, it's Russian 1. 서론 및 러시아와의 인연

Remember, it's Russian 2. 제정러시아의 선구자들


여러분이 들어보신 러시아의 기업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아마 바로 생각나는 게 거의 없을뿐만 아니라, 생각난다고 하더라도 사실상 에너지, 중공업 관련 이외에는 없을 거예요. 그도 그럴 것이, 실제로 제정러시아 당시에는 자본주의적인 기반 자체가 성립하지 못했고, 소련시대에는 산업이 철저히 관영으로서 에너지 및 중공업 분야만 집중적으로 육성된데다 현재의 러시아 공화국 체제에서는 소련 붕괴 직후의 혼란기 이후 찾아온 석유나 가스 등의 천연자원의 국제가격의 급등의 혜택을 보기는 했지만 산업의 균형있는 발전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보니 그러해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러시아의 산업을 마냥 폄하만 할 수 없는 게, 상당히 큰 잠재력을 지니고 있고, 그 잠재력이 지닌 고유의 강점 및 시사하는 분야가 적지도 않다 보니 러시아 산업의 개성적인 면모를 들여다 보는 것은 꽤 유의미하게 보여요. 그래서 이번에는 러시아의 산업에서 잘 나타나는 특징에 어떤 게 있는지 보기로 해요.


러시아 산업의 개성적인 면모 하면 저는 3가지를 거명하고 싶네요.

콤비나트, 설계국, 그리고 경험이 곧 기술로 이어지는 구조.


콤비나트(комбинат)라는 말은 상대적으로 낯설지 않은 어휘.

이 말은 기업 상호간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원료, 연료, 공업시설 등을 계획적으로 이은 기업집단을 말하는 것인데, 공업지역, 공업단지, 공장군(工場群) 등 여러 역어가 있어요. 게다가 유사한 개념으로, 지역생산복합체를 의미하는 컴플렉스(complex)도 있어요.

사실, 콤비나트 자체는 러시아만의 독특한 개념은 아니었고, 산업혁명의 주도국인 영국에서도 철광석과 석탄의 산지를 중심으로 제철공업이 발달하는 등의 유사한 형태가 생겨나고 있었어요. 그런데 왜 콤비나트가 러시아적인 개성이 되었을까요? 세계지도를 보신다면 바로 이해하실 수 있을 거예요.

러시아의 광대한 국토는 산업발전에는 양날의 칼로 작용해요. 자원이 풍부한 이점이 있는 반면, 수송의 효율에 문제가 있어요. 국토의 상당부분이 냉대 및 한대지역이라서 수송이 계절의 영향을 특히 많이 받는데다, 인구가 많더라도 넓은 국토로 인해 인구밀도는 희박해서 교통네트워크를 갖추기에도 난점이 있어요. 게다가 원료의 상당부분은 제품생산공정에서 부피가 크게 줄어드는 것이 많아서 원료수송비용이 폭증하는 문제점도 안고 있어요. 콤비나트는 이에 대한 역발상으로, 원료산지에 인접한 지역에 관련업종의 공장을 집중적으로 건설하여 산업을 육성시키고 완제품을 인근한 지역으로 배송하는 방식으로, 소련에서 급거 확대된 방식.


소련의 항공우주산업 관련을 알게 되면 잘 등장하는 어휘에 설계국이라는 말이 있어요.

설계국이란 러시아어 Опыт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의 역어로, 로마자 약자로는 OKB로도 쓰이고 있으며, 영어로는 Design Bureau로 통하고 있어요. 글자 그대로 설계국은 연구개발조직이고, 생산설비를 직접 보유하지는 않는 경우도 있어요.

소련시대의 유명 항공기 설계국으로서 현재도 존속중인 것에는 대표적으로 이런 것들이 있어요.

게다가, 자체 개발품은 없지만 도급생산만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 또한 있어요. 보로네즈 항공기 제작협회는 일류신, 투폴레프 설계국이 설계한 기종은 물론, 우크라이나 키예프 소재 기업인 안토노프의 항공기도 생산하고 있어요. 노보로시스크 항공기 제작협회가 수호이 이외에도 및 안토노프의 항공기를 생산하고 있는 한편 밀 설계국이 설계한 헬리콥터의 상업생산은 자체보유 공장이 아닌 카잔 헬리콥터공장 및 울란우데 항공기공장에 위탁생산하고 있고, 자체보유 공장은 연구용 소량생산에 전담시키고 있는 등, 연구개발과 생산이 상하분리된 행태를 특히 잘 보이고 있어요. 게다가 항공기 완성품 뿐만 아니라, 항공기 엔진의 경우도 이와 비슷하게 여러 설계국이 개발한 제품을 도급생산하는 페름엔진공장 등의 사례도 존재해요.

물론 일본 도시바 반도체의 욧카이치 공장처럼 도시바 및 미국 웨스턴디지탈이 공동운영하거나, 미국 오하이오주의 리마전차공장처럼 정부 소유의 전략물자 생산공장을 민간기업에 위탁경영시키는 경우 등도 있지만, 러시아처럼 한 산업섹터 전반을 국가가 독점하고 있고 연구 섹터와 생산 섹터를 사실상 상하분리의 형태로 운영하는 경우는 흔하지는 않아요.


특기할 사항의 세번째는 경험이 기술로 이어지는 구조.

이게 러시아의 무서운 점 중의 하나로, 경제논리 따위는 생각조차 안한다고 할 정도로 무식하게 보이기는 하지만 마냥 무식하지만도 않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거든요.

이런 유명한 말이 있어요. 제2차 세계대전 당시의 소련 전차인 T-34에 대해서는 "만들기 시작해서 그냥 많이 만들었다" 라고. 그런데 사실 그냥 많이 만든 게 아니라, 8만대 넘게 만들면서 생산현장에서 노우하우가 축적되고, 또한 당시 소련의 기술수준 및 품질관리가 높은 수준이 아니었지만 축적된 노우하우가 개량으로 이어져서 전장에서의 목표달성을 가능하게 만들었다는 데에서는 경외심까지 들기도 해요.

이러한 방식은 역시 항공우주산업 분야에도 이어졌어요.

MiG-15, 17, 19는 상당히 닮아 있는데 사실 이것은 연속적인 개발의 결과. MiG-17은 MiG-15의 최종완성판이 되었고, 그 MiG-17이 초음속기로 발전한 것이 MiG-19. 특히나 MiG-15는 알루미늄 토끼라는 별명을 얻을만큼 대량생산되어 공산권 국가에 보급되었어요. 게다가 여기에서 더 나아가서, 비슷한 동체구조에 삼각익이 탑재된 MiG-21은 일단 소련에서만 10,000대 넘게 제조되었고, 중국, 인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면허생산된 것까지 합치면 13,000대는 너끈히 넘을 정도로 엄청난 생산수를 기록했어요. 또한, R-7 로켓 시리즈는 1957년 이래 계속 개량되며 누적 발사회수가 이미 1,800회를 넘게 기록하면서 신뢰성과 경제성이 입증된 우주발사체로, 경험이 기술로 이어진다는 말이 결코 빈 말이 아니며, 누적된 역량이 왜 중요한지를 현대사회에 그대로 보여주고 있어요.



이렇게 러시아 산업의 개성적인 면모를 콤비나트, 설계국, 그리고 경험이 곧 기술로 이어지는 구조의 세 측면에서 들여다 봤어요. 이렇게 역발상으로 무장하여, 북미, 서유럽, 동북아시아와는 다른 방향으로 산업을 발전시켰고, 떨어지는 기술수준으로도 목적을 그럭저럭 달성가능한데다 오히려 경험을 기술로 만들어 버리는 러시아의 저력은 모범답안이 아닐 수는 있겠지만 그래도 최소한 얕볼 수는 없다는 것도 확실해졌어요.



다음 이야기는 러시아의 어두운 부분, 특히 인권 관련에 대한 러시아식 사고에 대해서 살펴 보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