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에서 그때그때 빌려보던 책들 중에 '슈퍼 히어로-미국을 말하다'라는 책이 있습니다. 코믹스를 넘어 영화와 게임으로 발전하는 상업적 성공보다는 각 히어로의 탄생 배경과 행동의 동기에 초점을 맞춘 책인데요. 그러다 보니 소설이든 만화든 작품을 접할 때 생각치 않았던 질문 - "얘네는 왜 이럴까?"라는 질문을 자주 던집니다. 첫 장부터 가장 유명한 슈퍼 히어로인 슈퍼맨의 탄생을 다루면서 "슈퍼맨이 남들을 돕는 이유는 뭘까?"라는 슈퍼 히어로물의 가장 근본을 다루고요. 그래서 이 책은 (아래의 질문과는 별개로) 창작이나 히어로물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이라면 꼭 읽어보기를 권합니다.
어쨌든 저 책의 영향도 있고, 최근에 저를 가장 괴롭히는 의문 중의 하나는 바로 이것입니다. "범죄물에도 주인공이나 캐릭터들의 행동에 대해 대의명분을 넣어야 할까? 혹은 어떤 동기를 넣어야 할까?" 입니다. 대의명분이라고 하면 아무래도 범죄미화물이 되기 쉬우니 '동기'로 바꾸겠습니다. 참고로 제가 만들려는 범죄물은 어느 정도 히어로물같은 부분이 있습니다. 주인공 일행이 핵심 스토리와 관계가 있든 없든 남들을 도와주기 좋아하거든요. 물론 그 과정에서 다소 불법적인 행동을 벌이기는 하지만요.
그런데 문제는, 현재 더블 주인공 체제로 가고 있기 때문에 반(半)합법적 활동은 레스터 리에게, 불법적 활동은 존 휘태커에게 맡겼습니다. 그래서 일단 처음에 걱정했던 주인공의 도덕성 문제는 해결하긴 했는데, 보다 근본적인 문제 - 레스터는 왜 손을 더럽히면서까지 사람들을 도우려 할까? - 에 대해선 아직도 답을 찾지 못했습니다. 대개 이 동기는 캐릭터의 탄생 배경(이 경우 레스터가 범죄계에 몸을 담게 된 사건)에서 탄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저는 현재 그 탄생 배경에 대해 확신이 들지 않아서 보류한 상태입니다. 그러다 보니 소설을 쓰려고 해도 캐릭터가 공허하게 움직일까봐 못 쓰고 있고요. 사실은 게을러서 그런 거지만...
현재 최대한 완성한 초안으로는 "리넷 블랙번(과거에 로망오크님이 올리셨던 '삼촌과 조카'의 만화에 나오는 소녀(?) 캐릭터입니다)을 포함한 지인들과 다른 사람들이 자신처럼 함부로 범죄에 빠지는 사람이 되지 않도록 막기 위해서" 정도입니다. 어찌 보면 위선일 수도 있고, 아니 위선이 맞을지도 모르겠네요(남을 챙긴다면서 다른 남에게 해를 입히고 있으니). 과연 이 정도의 동기라면 충분한 걸까요?
----------------------------------------------------
이것과는 별개로, 이미 아시는 분들은 다 아시겠지만 '레스터'는 사실 저를 작품 속에 등장시킨 모습입니다(이전에 이를 통해 글쓰기에 관한 문제를 해결했다고 글을 썼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스토리 자체에 대한 애착도 생기고, 사건 구성도 좀 더 쉬워졌습니다. 제 입장이라면 어떻게 판단할지를 그대로 쓰면 되니까요. 문제는 역설적으로 이 해결책이 그대로 독이 되었다는 점입니다. 저를 투영한 캐릭터이기 때문에, 범죄 활동을 벌이는 인간으로 만드는 게 두려워진거죠.
더 웃긴 점은, 글쓰기를 처음 시작했을 무렵(그러니까 고등학교 2~3학년)에는 제 세계관이 아닌 GTA - 그러니까 범죄가 일상이고 가치관이 되는 세상 - 를 바탕으로 해서 그런지 제 캐릭터(그 때도 저를 투영했습니다)가 범죄를 저질러도 양심의 가책이 들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재미있다고 생각했던, 도덕적으로 매우 위험한(...) 상태였네요. 그런데 지금은 GTA와 결별하고 제 자신의 이야기를 쓰려고 하니, 그런 '가치관'이 사라져서 그런지 몸을 사리게 됩니다. 그리고 위에 썼던 '동기'로 돌아가는 거죠.
연말인데 뭐하고 있는 건지 저도 참 혼란스럽네요;;; 도와줘요, 졸프 J. 킴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