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6년, 아직 눈이 다 녹기 직전의 이른 봄날이었습니다.
철로 너머의 어느 산에 흰 옷을 입은 사람들의 장사진이 천천히 산을 오르고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장례 행렬이었습니다. 당시만 해도 장례를 치를 때에는 꽃으로 장식한 상여를 메고 고인에 대한 추모 등으로 채워진 만장을 높이 들면서 곡을 하면서 동네를 나와 장지로 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보니 그 광경 자체는 그리 낯선 것도 아니었습니다. 그런데 그 행렬의 종착지, 즉 무덤이 만들어질 곳이, 철로를 사이에 두고 당시 살았던 집을 내려다보는 형국이었음을 알고는 섬뜩함에 말을 잇지 못했습니다.
그날 오후가 되어 새로이 만들어진 봉분은 붉은 흙이 주변의 상록수림의 녹색 및 잔설의 백색과 대비되어 아주 선명하게 보였습니다. 무덤에 관해서는 온갖 무서운 이야기도 있고 그래서 사실 겁이 안난다면 새빨간 거짓말이겠지요. 당시 살던 집이 화장실이 건물 안에 통합된 게 아니라 마당에 별채로 되어 있는 것이라서 일몰 후에는 화장실에 가기도 꺼려질 정도였습니다. 그렇게 그날 이후 그 무덤은 역시 집 앞 경치를 볼 때에는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눈이 녹고, 붉은 흙이 드러난 봉분이 녹색으로 덮여가면서 무덤을 무서워하기만 했던 저의 생각은 조금씩 바뀌기 시작했습니다. 바뀌어 가는 자연 속에서 저렇게 무덤이 다르게 보이는데 정작 그 무덤을 보는 저 자신은 공포드라마나 괴담집 등에 나오는 그런 이미지에 사로잡혀 있는 것이 아닌가, 이렇게 생각해 보니 그 무덤 앞에 부끄러워지더군요.
그래서 그렇게 생각한 이후에는 그 무덤을 무서워하기보다는 그 무덤과 무언의 대화를 하기로 했습니다. 오늘 하루, 저 무덤 속에 영면해 있는 그와 살아 있는 저는 서로를 어떻게 보고 있는가를 상상하면서.
그리고 그 해 추석.
사람들이 그 무덤 주변에 나타났습니다. 시기도 시기였는데다 알록달록 한복을 입은 것으로 봐서 성묘객이 확실했습니다.
초봄에는 슬퍼하며 고인을 떠나보냈지만 결실의 계절에는 그 슬픔이 아물어 그 고인의 후손들이 다시금 인사를 하고 온 것일테지 하는 생각에 그저 눈물이 멈추지 않았습니다.
이듬해 봄에 저희집은 다른 동네로 이사했고 그 무덤은 그 때 이후로는 간혹 그 방향으로 열차를 타고 갈 때 이외에만 보입니다. 그럴 때마다 번번이 생각납니다.
저는 아직도 그 무덤에 누가 잠들어 있는지는 모릅니다.
하지만 1986년 그 때, 그 무덤과의 무언의 대화에서 느낀 것들은 30년도 훨씬 더 지난 지금도 여전히 생각나고 있습니다. 변화하는 자연 속에서 우리는 누구와 어떤 대화를 하고 있는가, 그 대화를 주고 받으며 알아가는 서로의 삶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그리고 혹시 주변의 것들에 대해 생각없이 선입견에만 미루어 보고 있는 건 없는가 등등.
추석이 다가오다 보니 그 때의 기억도 다시금 크게 되살아납니다.
그리고, 1986년 그 때의 생각을 담아서 그 무덤에 감사하는 마음을 새로이 갖고 싶습니다.
이 마음을 글로 쓰는 데에 31년의 시간이 걸렸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