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에서는 스치고 지나가는 것들이 꽤 많아요.
그리고 지금의 이 순간이 크게 바뀔 것 같지 않게 느껴지거나 그냥 대수롭지 않게 당연하게 느껴지기도 해요. 그런데 잠깐 생각해 보고 있어요. 과연 지금의 일상이 일상이 아니게 된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를.
장거리열차를 타기 전에 대기시간을 이용해서 KFC에서 수퍼박스 메뉴를 구입해서 먹는 경우가 있어요.
일례로 징거박스에는 징거버거, 후렌치후라이, 음료와 더불어 치킨과 에그타르트도 들어 있는데, 그것들을 별 생각없이 먹고 있다가 순간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 그때가 특히 AI가 대유행중이라서 닭을 대량 살처분하는 뉴스 그리고 계란 가격의 폭등 뉴스가 자주 들렸다 보니, 이렇게 당연하게 먹고 있는 것들이 어느 시점에서는 당연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그리고 지금 이렇게 누리는 것은 어쩌면 엄청난 사치일 수도 있다는 것에 새삼스럽게 놀라게 되네요.
패스트푸드 관련으로 또 하나.
어느 패스트푸드 체인이든지간에 판매하는 음식은 미리 레시피가 결정되어 생산되고 있고, 그래서 각 매장의 인력의 대다수가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사람들로 채워져 있다는 것은 주지의 상식. 그러니 패스트푸드점에 레스토랑의 주방장같은 사람이 없는 것도 당연한 상식이예요. 그런데 끊임없이 사람들이 탈출하는 중동, 아프리카 지역의 사람들에게는 이게 상식이 아니라고 하네요. 특히 꿈이 맥도날드 주방장이라는 난민도 있다고 하네요. 저개발국에서 그런 패스트푸드 체인점의 음식은 아주 비싸고, 그래서 방문해 본 적도 없는 사람들도 부지기수이기에 우리에게 당연한 상식이 다른 곳에서는 그렇지만도 않다는 것이 이렇게 입증되고 있어요.
이번에는 편의점 관련으로 하나.
담배갑에 온갖 혐오이미지가 인쇄되어 있는 것을 직접 보고 기겁했어요.
저는 매주 로또를 구매하고 있고, 많은 경우 편의점에서 사고 있어요. 그런데 편의점에 따라서는 로또발매기와 담배매대가 가까운 경우가 있고 오늘 방문한 편의점도 그 구조예요. 그런 곳에서 로또를 구매하게 될 때는 싫든 좋든 담배매대가 눈에 들어오게 되는데, 보고 나니 확실히 속이 좋지 않네요. 특히나 그런 데에 내성이 별로 없다 보니...
담배갑에 혐오이미지를 인쇄해 놓으면 구매욕구가 낮아질 것이고 그래서 금연에 도움이 될 거라는 말이 있는데 이게 별로 검증되지 않은 일상이론(Alltagstheorie)에 지나지 않는가 하는 의심이 생겨요. 어차피 흡연자들이 담배의 해악을 몰라서 담배를 피우는 것도 아닐텐데 그런 건 해서 뭐하나 하는 생각도 들어요. 당장 비흡연자인 제가 그 혐오이미지와 눈이 마주치면서 기분이 나빠졌고, 카운터의 직원은 그걸 볼 때마다 정말 괴로울텐데...
이렇게 몇 가지 스치고 지나가기 쉬운 몇 가지를 요즘 들어 다시금 생각하게 되어요.
반년동안 문제였던 발끝통증이 해소되다 보니 다른 관점으로 생각할 여유도 나는 건가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