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근 제 “여성 캐릭터 관(觀)”이 지나치게 보수적인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고 있습니다. 이런 생각을 하게 된 것은 최근 국내 작품들, 그 중에서도 트렌디 드라마들에 나오는 일부 여성 캐릭터들 때문이죠. “귀엽고 발랄하지만 억척스러운 면도 있고 당찬 여성”이라는 컨셉의 캐릭터들인 것 같은데…… 개인적으로는 “무례하게 행동하고 생각 없이 말하는 민폐녀” 정도로 밖에 보이지 않았습니다. “하루히 시리즈”의 “스즈미야 하루히”나 “제로의 사역마” 초기의 “루이즈 프랑소와즈 르 블랑 드 라 발리에르”를 연상시킬 정도였죠. 그런데 저희 어머니나 해당 작품의 주 소비자층은 그런 캐릭터들을 컨셉 그대로 인식하는 것 같았습니다. 그런 관점 차이를 보니 어쩌면 제 자신의 생각이 지나치게 보수적이었을지 모른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2. “너 자신이 좋아하는 내용으로 작품을 만들어라”라는 말을 늘 마음 속에 담고 있지만 생각해보면 실천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았습니다. 개인적으로 굉장히 좋아하는 소재가 몇 있는데 그 중 일부는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쓰지 않으려고 피해버리더군요. 하지만 이를 고치자니 왜 해당 소재를 피하는지도 너무 잘 알고 있어서 고민됩니다. 마음 속에 둔 방침에 예외를 두어야 하는 지, 아니면 역시 마음 속에 정한 방침을 따르는 것이 옳을 지…….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3. 예전에 “왜 옛날 애니는 좋았는데 요즘 애니는 별로일까?”라는 2ch 쓰레드의 번역을 본 적이 있습니다. 거기에 개인적으로 공감했던 코멘트(쓰레드에 달린 글도 이렇게 부르는 지는 모르겠습니다만)가 둘 있었죠. 하나는 “그야 별로인 옛날 애니는 기억되지 못하고 잊혀지니까.” 라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이런 얘기하는 애들은 정작 요즘 애니가 뭐 나오는 지도 모르더라.”라는 내용이었습니다. 볼 당시에도 상당히 공감하던 코멘트들이었습니다만, 최근 인터넷에 나도는 어떤 글과 해당 글에 달리는 덧글들을 보면서 저 중 두 번째 코멘트가 계속해서 떠오르더군요.
해당 글은 2015년 10월 신작 애니메이션인 “낙제 기사의 영웅담”과 “학전도시 애스터리스크”의 비교 글입니다. 해당 글은 두 작품의 1화 내용이 굉장히 유사하다며 “양산형”이라고 까는 내용이죠. 실제로 둘의 도입부는 상당히 비슷해요. 저 역시 인정합니다. 다만, 그 둘이 같은 판형의 양산형 작품이라고 하기에는 아무래도 힘들어 보이더군요. 초반에 주인공과 히로인의 만남은 비슷한 전개지만 캐릭터 설정, 작품의 주제, 캐릭터들간의 관계도 등 이야기 대부분이 딴판이거든요. 당장 애스터리스크의 주인공인 “아마기리 아야토”는 봉인이 걸려서 약해진 상태에서도 세계관 상위권 강자인 반면, 낙제기사의 주인공인 “쿠로가네 잇키”의 경우, 도핑기 빼면 쓸 수 있는 기술도 없이 노력으로 남들에게 인정받는 경지에 오른 캐릭터입니다. 이 둘이 비슷하다고 하는 건 소년 만화 “나루토”의 “우치하 마다라”와 “마이트 가이”가 비슷한 캐릭터라고 말하는 꼴이겠죠. 거기에 “학전도시 애스터리스크”는 다수의 히로인이 주인공에게 반하는 내용이 나오는 “하렘물”인 반면 “낙제기사의 영웅담”의 경우 메인 히로인 일직선이라는 것도 다른 점입니다.
이런 사실과 관계없이 해당 글에 달린 코멘트들은 전부 “양산형 하렘물이 다 그렇지. 아~옛날 애니는 좋았는데 요즘 애니는 다 이래요.”라는 발언투성이더군요. 과연 이렇게 말하는 사람들이 요즘 신작 애니에 대해서 얼마나 아는지 궁금해지는 내용들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