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미의 국가인 엘살바도르 및 프랑스의 소설 그 소설에 기반한 영국 뮤지컬 레미제라블은 적어도 국내에서는 늘 잘못 발음됩니다. 늘 이런 식이지요. 엘살바도르는 "엘살-바도르" 로, 레미제라블은 "레미-제라블" 로. 그렇게 끊어 읽지 않으면 금기를 깨게 되어 무슨 감당못할 비상사태라도 일어나거나 하듯이.
결론부터 말하자면, 둘 다 잘못되었습니다.
엘살바도르는 로마자 알파벳으로 표기하면 El Salvador. 즉 "엘+살바도르" 입니다. 구세주라는 의미의.
같은 원리로 레미제라블은 Les Miserables. 즉 "레+미제라블" 입니다. 불행한 사람들이라는 의미의.
그러니 국내 방송에서 읽는 것은 과거의 유머인 "아기다리 고기다리" 같은 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문제의 유머는 "아 기다리고 기다리던..." 을 잘못 읽어서 발생한 것으로, 원래 표현하려던 간절함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져 있고 엉뚱한 언어유희가 그 자리를 차지한 것. 이 유머는 요즘은 기억하는 사람들도 거의 없지만 예의 현상들은 여전합니다.
보도영상을 2건 첨부해 두겠습니다.
먼저, 엘살바도르 보도부터.
그리고 이번에는 레미제라블 보도로.
약속이나 한듯이 공통적으로 잘못 읽는 것이 보입니다.
그것뿐만이 아닙니다. 용액이 산성인지 염기성인지를 알아보는 화학물질인 지시약(指示薬)으로서 각급학교 과학교과에 언급되는 페놀프탈레인의 경우도 대부분 "페놀프+탈레인" 으로 발음될 것입니다. 그런데 사실 이것도 틀렸습니다. 문제의 물질의 영어표기는 Phenolphthalein으로 페놀(Phenol)과 프탈레인(Phthalein)의 합성어이다 보니 잘못 끊어읽는 것입니다. 유튜브(YouTube)에 올라와 있는 각종 과학관련 강좌의 영상에서도 이런 현상이 횡행합니다.
그런데 이런 현상이 왜 이렇게 만연하는 것일까요?
지난 2020년에 쓴 글인 군가 "진짜사나이" 를 매번 틀리는 원인의 안쪽을 인용해 보겠습니다.
"산봉우리에 해 뜨고 해가 질적에" 라는 가사만큼읜 거의 대부분 꼭 약속이라도 한 것처럼 틀립니다. 그것도 언제나 똑같은 유형으로, "해가 뜨고 해가 질적에" 라고 글자수도 늘어나는 건 물론 멜로디도 변해 버립니다. 이것의 원인으로 지적한 대칭화가 바로 그 주범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그러니 5음절의 단어는 2음절+3음절로, 6음절의 단어는 3음절+3음절로 끊어 읽는 것에 아무런 의심도 가지지 않고 그게 자연스럽다고 전제하는 듯합니다. 그러니 군가 진짜사나이에서는 가사와 멜로디의 왜곡이 일어나고 엘살바도르와 레미제라블과 페놀프탈레인은 늘 잘못 읽는 사례가 됩니다.
역사를 그렇게 중시하면서 쓰는 어휘의 역사에 대해서는 일말의 관심조차 없고, 어휘가 외래어인가 아닌가를 따지고 아니라면 한자어끼리의 조합인지 한자어와 고유어의 조합인지 고유어끼리의 조합인지를 따지고 또 예외에 해당되는지를 일일이 따져서 사이시옷을 쓰면서 정작 늘 잘못 읽는 어휘에 대해서는 어떻게 되든지 나몰라라 하는 이런 언어생활은 희극일지 비극일지 잘은 모르겠습니다만, 적어도 이 문제에 대해서는 구세주도 지시약도 없고, 한국어의 언중이 불행한 사람들이 되는 결말이 기다리고 있다는 정도는 예측할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