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뉴스] 고기반찬도 아니고 고기밥?

Lester 2024.02.16 06:39:28

[BBC] 한국 연구진, 단백질 함량 높은 '고기쌀' 개발...맛은 어떨까?




제목 그대로 고기밥, 정확히는 '고기 쌀'에 대한 기사입니다. 게시글 작성 시점으로부터 불과 12시간 전인, 갓 지은 밥처럼 따끈따끈한 소식입니다. 기사 일부를 가져오자면 이렇습니다.


한국 연구진이 새로운 유형의 하이브리드 식품인 일명 ‘고기 쌀’을 개발했다. 저렴하고 친환경적인 단백질 공급원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쌀엔 매우 미세한 구멍이 나 있는데, ‘고기 쌀’엔 실험실에서 배양한 소고기 근육과 지방 세포가 가득 들어 있다. 우선 소고기 세포가 더 잘 달라붙도록 생선에서 추출한 젤라틴으로 쌀을 코팅한 다음, 소 근육과 지방 줄기세포를 이 쌀에 넣고 실험실 접시에서 최대 11일간 배양했다. 연구진은 이 쌀이 향후 “기근을 위한 식량 구호, 군사 배급, 심지어 우주 식량”의 역할을 할 수도 있으리라 전망했다.

(중략)

연세대학교 연구진에 따르면 일반 쌀에 비해 단백질은 8%, 지방은 7% 더 많이 함유하고 있다. 또한 일반 소고기와 비교하면 대량으로 가축을 키울 필요가 없기에 탄소 배출량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연구진은 단백질 100g 생산을 기준으로 볼 때, 이 하이브리드 쌀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6.27kg 미만인 반면, 일반 소고기 생산 시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이보다 8배 더 많은 49.89kg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니까 기존 쌀에 줄기세포를 섞어서 고기 성분을 지닌 쌀을 만든 것으로, 인용한 부분에서 보듯이 단백질과 지방도 조금 늘었고 탄소 배출량도 적다고 합니다. 옛날 조선왕조실록에서도 태종이 세종에게 공부만 한다고 빌빌거리니 고기반찬을 허하라, 라는 기록도 있었던 만큼 고기는 나름대로 영양보충제 역할을 했습니다. 그것을 반찬이 아니라 주식인 밥으로 해결한다는 점은 꽤나 대단하다고 하겠습니다. 특히 기사에 나온 것처럼 우주식량까지 가지 않더라도 '기근을 위한 식량 구호'로는 꽤나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한 가지로 여러 영양분을 동시에 챙길 수 있으니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한편으론 이 기사를 보고 이제는 널리 알려진 '콩고기', 즉 식물성 고기가 생각났습니다. 정확히는 식물성 고기와 고기 쌀 모두 '대체육(고기의 대체 수단)'에 포함되나, 기존의 물질로 만드는 식물성 고기와 달리 고기 쌀은 인공배양을 사용하므로 대체육에서도 '배양육'으로 따로 분류됩니다. 전문적인 이야기를 떠나서 식물성 고기는 고기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을 타개하기 위한 수단이라 입지 자체가 약간 불안정한 측면도 있고(심하면 그런 '가짜 고기'를 누가 먹냐는 얘기도 있을 정도), 결과적으로 가공식품이라 나트륨이 더 많아진다는 비판도 있습니다. 그에 비하면 고기 쌀은 어쨌거나 주식이니 좀 더 관대하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물론 고기 쌀도 약점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아래 기사에서는 이런 문장도 나옵니다.

[중앙일보] 밥인가 쇠고기인가…핑크빛 쌀의 정체

상용화를 위해선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쇠고기 쌀은 밥을 지었을 때 찰지거나 부드럽지 않았고, 일반 쌀보다 더 단단하고 부서지기 쉬웠다. 또 근육 함량이 높은 쇠고기 쌀은 쇠고기나 아몬드와 같은 냄새가 났으며, 지방 함량이 높은 쇠고기 쌀에선 크림, 버터 및 코코넛 오일 냄새가 났다.

'소비자들의 반응은 알 수 없다'는 점은 맨 위의 BBC 기사에서도 우려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인간의 기본 욕구 중 하나인 식욕과 관련된 식품인데 상품으로 성립하지 않는다면 금방 쇠퇴할 가능성도 있으니까요. 위에서 군사 배급이나 우주 식량을 언급한 것도 '솔직히 맛있다고는 못하겠다'라고 에둘러 인정한 게 아닌가 싶습니다. 그렇다고 향이나 조미료를 추가하면 그것대로 논란이 많을테고... 불과 오늘(정확히는 어제인 15일)에 잇달아 공개된 소식이니만큼, 아직 더 연구해 보기 전까지는 모른다고 봐야겠습니다.


그나저나 북한에서는 '이밥에 고기국'이라는 구호를 사용했는데, 그렇게나 적대시하고 증오하던 남조선에서 고기 쌀을 만들었다는 소식을 접하면 대체 어떤 반응을 보일지 참 궁금하네요. 하다하다 저런 걸 배급한다고 선동할지도 모릅니다.




건강 악화 탓인지 글에 통일성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문제가 되는 부분이 있을 시 지적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