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북한서체 이야기에 관심이 생겨서 좀 찾아보고 쓰는 글

Lester 2024.01.12 23:07:52

본래는 아래 글에 대해 코멘트로 작성하려고 했습니다만, 이것저것 찾아보다 보니 내용이 길어져서 코멘트에 넣으면 읽기 힘들 것 같아 독립된 글로 작성합니다.




구글에서 "북한서체 문제"로 검색해보니 가장 최근 사건이 작년 1월 당시 선거 관련 촛불집회에서 전자개표 조작을 의심하는 플래카드에 북한서체가 쓰인 것을 토대로 종북세력의 개입이라는 논란이 있었다고 하는군요. 당시 미디어오늘에서는 조선일보 등의 보수 성향 언론들이 종북세력 개입 의혹을 부채질한다며 비판(링크)하는 동시에, 인터넷에 이미 자유롭게 퍼졌다고 증언한 데가 다름아닌 조선일보이므로 종북세력 개입 의혹은 확대해석이라며 과거 기사(링크)를 끄집어내면서까지 비판했습니다.


그런데 두 기사를 비교해보면 알겠지만 미묘하게 다릅니다. 조선일보에서는 북한서체의 자유로운 이용과 범람을 지적하면서도 폰트업계 관계자들의 말을 통해 '한국 폰트는 8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한 반면 북한 서체는 발전이 없었기에 과거 7~80년대를 떠올리게 한다'라고 밝히지만, 행간을 읽어보면 "80년대 이전의 한국 (고유의) 폰트를 사용한 것은 아니다"라는 지적이 숨어 있습니다. 반면 미디어오늘의 기사에서는 한글미디어디자인연구소 노수용 소장의 발언을 집중적으로 인용하고 기사를 위해 새로 인터뷰까지 하며 '북한 폰트는 남북폰트교류연구회라는 단체에서 북한과 함께 3년 동안 공동개발한 폰트 이외에는 공식적인 경로를 통해 들어온 폰트는 없다, 하지만 인터넷상 쉽게 다운로드할 수 있다'라고 주장하는데, 남북폰트교류연구회는 노수용 소장이 당시 공동연구를 진행할 때 회장으로 있었던 곳입니다. 그래서 혹시나 하는 마음에 기사를 더 찾아봤더니 2년 뒤인 동아일보와의 기사(링크)에서 '순수 연구 목적으로 받았을 뿐 유출시킨 적은 없으며, 당시(2009년) 개발된 서체는 (시위에서 사용돼 논란이 된 광명납작체가 아닌) 정음체이다'라고 선을 그었네요. 그 외에 북한 폰트와 한국 폰트의 상세한 비교는 여기를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마지막 채널이 역식(역자+식자) 관련 커뮤니티인 것도 그렇고, 북한서체가 사용되는 이유는 '독특하니까 + 분위기에 맞으니까 + 유행이니까' 정도로 복잡하면서도 대체로 신진 문화라는 것이 느껴집니다. 즉 정말로 북한을 추종하려고 사용하는 경우는 별로 없단 얘기죠. 위에 링크한 기사들에서 언급된 공영방송 KBS의 사례에서도 '느낌 난다'는 이유로 사용하는 것에 일일이 정치적 잣대를 들이대며 검열하기는 힘들 것입니다. 관련 논문 초록(링크)에서 유추하자면 TV의 경우 뉴스라면 신문보다 이용자층이 넓기에 정치적 논거가 약화될 것이고, 프로그램(ex. 채널A의 이제 만나러 갑니다)이라면 볼 사람만 볼 경향이 높을 것이며, 단순 예능이라면 좌우대립 자체를 피하려고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공중파나 예능에서의 북한서체를 가볍게(?) 사용하는 것 자체는 딱히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최근(2023년 11월~)에 논란이 된 손가락 사태를 비롯한 남성혐오 상징 삽입 사건이나 공중파에서 노무현 합성 이미지 사용 사건처럼 노골적인 경우라면 당연히 문제를 삼아야겠지만요. 자신들의 사상이든 나태함이든 드러내지 않고서야 못 배겨서 사고를 치는데 봐줄 이유가 없잖습니까. (특히 전자의 경우 나중에 따로 글을 쓰겠지만, 정상적인 흐름이나 사소한 순간마저도 의심하게 만드는 풍조를 낳아서 더욱 악질입니다)


의도를 알아채기 쉬운 이미지와 달리 서체 자체는 도구에 불과하기에 특정 문구가 아닌 이상 결론을 내리기 어렵다는 점도 근거로 작용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동아일보 기사 말미에서 지적했듯이 '진의가 의심받는 상황에서도 사용하는 부류'라면 말할 것도 없겠다 싶지만요. 어쩌면 이들도 위에 언급한 사건들처럼 본색을 드러내야 직성이 풀리는 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그 외에는 합당한 이유를 찾을 수가 없으니까요. '구하기 쉬운 북한서체를 어쩌다(?) 반정부 시위현장에서 사용했다'는 건 합리적 의심을 해볼만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억울하면 다른 폰트 찾아서 정치적 중립성을 주장하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