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uffingtonpost.com/2013/03/15/casey-james-fury-submarine-sentenced_n_2883051.html
원자력잠수함 관련 자료를 찾던 도중에, 미 해군의 USS Miami가 수리중 화재사고로 중정비를 받고 있다는 것을 알았어요.
그런데 화재의 원인이 상당히 충격적이예요.
2012년 3월 23일, USS Miami는 미국 메인주 포츠머스 해군공작창에 입고되어 수리하던 도중, 조선소 직원인 케이시 제임스 퓨리(Casey James Fury)가 직물에 불을 붙여서는 오버홀 중인 잠수함의 수병실에다가 던져넣었어요. 그리고 화재가 발생하여 12시간이 걸려서야 진화되었고, 7명의 부상자를 내었어요. 방화사고를 당한 잠수함은 4억 5천만달러에 달하는 큰 손해를 당했어요. 방화범은 혐의를 인정했어요.
그리고, 2013년 3월 15일, 방화범에 대해서는 확정판결이 났어요.
범인 퓨리에 대해서는 징역 205개월(17년 1개월), 배상금 4억 달러, 그리고 출소후 5년간의 보호관찰이 선고되었어요.
그는 복역하면 되지만, 문제는 그가 내야 할 배상금.
그 배상금 액수가 다 채워질 수 있을까요? 사실 불가능해요.
게다가 방화사고를 당한 잠수함의 처리에도 문제가 있어요.
해군측에서는 2011년에 퇴역한 USS Memphis의 함체를 유용하려 했는데, 문제는 그 퇴역함이 1977년에 취역한 오래된 군함이라서 내압선각이 높은 압력을 받는 잠수함에 동류전환을 하기에는 아무래도 위험해요. 그리고 퇴역함과 사고함이 모두 같은 로스앤젤레스급이라고는 하지만, 퇴역함 멤피스는 초기형인 Flight 1, 마이애미는 급내 최신형인 Improved 688로 사실상 다른 군함이예요. 게다가 마이애미에는 토마호크 크루즈미사일을 위한 수직발사관이 있지만 멤피스에는 그게 없어서, 결국 퇴역함체 유용은 불가능해져요. 그래서 방화사고 진화 후 오버홀 작업을 2015년까지는 한다고 하는데 이것도 불투명해지고 있어요.
결국, 한 작업원의 어이없는 행동에 엄청난 재해가 일어나고 말았어요. 그리고 그 손해는 고스란히 국가의 부담이 되었어요.
그리고 세계 각지의 안보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만들어진 잠수함이, 입고수리중에 이런 테러를 당해서 상당기간 못 쓰게 되었다는 것도 아주 역설적으로 무서운 일이 아닐 수 없어요. 역시 적은 내부에 있다는 말이 맞는 걸까요.
진압에 12시간이 걸릴만큼 엄청났던 화재사고에 사망자가 없었고, 원자로에 피해가 없어서 방사능 관련 사고가 나지 않았다는 게 천만다행이예요.
지난 해에 있었던 이 대참사에서 무엇을 느끼셨나요?
나날이 예측하기 힘들어지는 세상이 두려워지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