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우연히 본 기사가 하나 있었는데 그 집필의도가 매우 저열하고 자가당착 투성이라서 비판해 보기로 했어요.
문제의 기사는 아시아경제에 나온 2023년 1월 11일의 기사.
저 기사를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그런 것이죠.
어떤 연구논문에서는 여성 골프선수의 경기 중계에서 신체적 특징에 따른 선별적인 방영이 이루어진다는 것이고 그런 현상이 "스포츠 미디어 상업 복합체" 로 통칭할 수 있는 섹슈얼리티 의존이라는 그런 것인데...
이따위 기사로 미모의 여성 스포츠선수를 욕해서 얻는 게 대체 뭐길래 저러는 것일까요?
그리고 얼굴이 나오지 않은 채 사진으로 소개되는 "A 선수" 에 대한 인격권은 어떻게 되어도 전혀 상관없다는 것일까요?
백번 양보해서 저 연구결과와 기사를 긍정한다고 하더라도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어요.
여성다움이 주목되는 것을 섹슈얼리티니 성적대상으로 소비되느니 하면서 탄압하는 여성혐오 기조가 아주 팽배하다는 것. 그러면 미모의 여성 선수가 배제되거나 바디라인을 잘 드러내는 골프웨어를 입지 말아야 속이 시원하고 소원이 성취되는 것일까요? 여성의 외모가 죄악시되어야 한다는 논조가 여성혐오가 아니면 또 뭐라는지.
그리고 저 기사에 언급된 "A 선수" 는 미모로 화제를 얻으면서 국내의 20-30대 여성이 골프에 관심을 많이 갖게 한 계기를 만들게 되었어요. 즉 골프 저변을 늘렸는데다 여성팬도 많다는 것이죠. 그러면 그 여성팬들은 그 선수를 보고 성적으로 생각해서 골프 향유층에 편입된 건가요? 여성이라면 일단 부러워할 체형과 좋은 실력과 뛰어난 패션센스로 동경심을 일으킨 게 그렇게 죄라는 건지. 단지 그 선수가 화면에 많이 비추어져 있다고 해서 성적이니 어쩌니 하는 것은 상관관계가 있을지는 몰라도 인과관계는 전혀 입증되지 않아요. 즉 엉터리 연구라는 것. 그나마 다른 비교사례라도 많았으면 그나마 신빙성이 있어 보일 것이 그마저도 갖추지도 못해요. 즉 결함투성이의 연구를 인용해서 특정인의 인격권을 침해하는 그런 기사는 섹슈얼리티 운운하면서 인간을 목적이 아닌 도구로 전락시킨 것이죠.
이런 말까지 하면 그렇지만 이건 말해야겠네요.
그 미모의 여성골퍼가 없으면 예의 그 연구는 수행하고 기사는 쓸 수 있었는지.
그리고, 남성 선수들이 활약하는 다른 각종 스포츠경기에 남성팬들이 열광하는 것도 섹슈얼리티가 원인인 것인지. 그런 반례를 보고 어떻게 대답할지도 궁금해지네요.
2017년 여름에 쓴 글인
여류와 여류의 마지막 문장을 또 인용해야겠어요.
여성이고 남성이고 이전에 인간임을 인식하는 게 그리도 힘들고 어렵고 싫은 것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