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선택적인 정의감과 비판의식에 대해서 몇 마디

SiteOwner 2023.01.05 22:30:41
4반세기 넘게 관찰해 온 것입니다만, 우리나라에서의 정의감과 비판의식은 유독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미국과 일본에 대해서는 제국주의 반대나 신자유주의 반대 등을 아주 잘 외쳐댄데다 일본에 대해서는 세계에 존재해서는 안될 악의 소굴, 존재 자체가 불의한 국가, 한때 경제대국이었지만 이제는 쇠퇴해 가는 국가 등의 험구를 잘만 동원합니다. 그리고 그것들에 대해서는 일말의 주저도 재고도 없습니다.

그런데 그런 사람들 치고 불량국가들에 대해서 그만큼 비판하는 것만큼은 유독 못 봤습니다.
과거의 소련 및 현대의 러시아라든지, 지금의 중국이나 북한에 대해서만큼은 철저히 외면하거나 딴소리하기에 바쁘지요. 심지어는 강력한 영도력, 민주주의보다 보다 효율적인 일당독재, 내재적 사고방식 운운하면서 변호하기에 바쁜 행태도 아주 흔하게 보이고, 그들에 대한 비판에 대해서는 현실적인 위협에 대해서 그들을 자극하면 전쟁위협을 높이니 하지 말아야 한다니, 중요한 무역파트너니까 적대하면 손해라든지, 같은 민족이니까 성역화해야 한다고 그러고 있습니다.

게다가 그런 부류의 사람들의 속성은 의외로 차별의식에 사로잡혀 있다는 것도 있습니다.
우크라이나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 중에 이런 게 있습니다. 코미디언 주제에 대통령이 된 무능한 인물이라고. 그런 사람들에게 반문해 보고 싶군요. 그런 사람은 코미디언보다 남들을 잘 웃길 수 있는지. 게다가 젤렌스키가 법학석사 출신인데다 전직이 배우이면서 또한 방송기획자이다 보니 대중의 마음을 사로잡고 여론에 잘 호소하는 데에 프로페셔널이라는 것은 전혀 언급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차별의식을 내세우면서 민주와 진보를 말하는 것도 웃기는 일입니다. 그런 자들이 남용하라고 만들어진 개념도 아닌데 말이지요.

이에 대해서는 앞으로 추가로 언급될 기회가 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