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정규교육과정에서 배운 외국어는 3가지입니다.
중학교 때부터는 영어를, 고등학교 때에는 독일어를, 그리고 대학 때에는 러시아어를 배웠습니다.
대학 때의 사람들을 이후에 만났을 때에는 그들이 상당히 당황해 하기도 했습니다. 정규교육과정에서 전혀 접한 적이 없는 일본어를 언제 그렇게 익혔느냐고. 읽고 싶은 책이나 듣고 싶은 노래의 내용을 알고 싶어서 독학으로 시작한 것이 그 시초이다 보니 아무래도 그런 반응을 보이더라도 이상하지는 않겠지요.
그리고 고등학생 때 라틴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및 스페인어에 대한 소양을 가진 계기가 있습니다.
음악에 취미가 많았다 보니 음반수집도 시작했고, 음반 재킷 내부에 인쇄된 평론가의 기고문이나 아티스트의 소개가 보통 영어/독일어/프랑스어의 3개국어로 쓰여져 있고 간혹 이탈리아어로 된 것도 있다 보니 그렇게 대조해 가면서 읽기도 하다 보니 알게 되었습니다. 듣던 음악에 종교음악도 많다 보니 라틴어를 접할 기회도 있고 그렇다 보니 그렇습니다. 근년 들어서는 스페인 및 포르투갈이 입지한 이베리아 반도의 르네상스 및 바로크 음악에도 관심이 있다 보니 스페인어와도 접점이 꽤 생기고 있습니다. 스페인 요리에도 관심이 많고 하다 보니 그러합니다.
동생이 대학에 진학하면서 고급일본어 수업을 듣고 문화충격을 느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됩니다.
사실 동생은 그렇게나마 정규교육과정에서 일본어를 접할 기회라도 있었지 저는 그것조차도 없었다 보니...
그래서 이렇게 해보고 싶은 생각도 있습니다. 생활에 충분히 여유가 있다면 국내의 어학원에서 어떻게 일본어를 가르치는지 체험해 보고 싶다고. 특히, 일본어를 전혀 못하는 초심자로 위장해서 강좌에 참여해 보고 싶은. 제 생각이 꽤나 엉뚱할 것이라는 것은 충분히 이해하고 있기도 합니다.
이렇게 간단하게 외국어 학습 편력을 늘어놓아 보았습니다.
여러분들의 경우는 어떤지 궁금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