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장애인의 날에 생각하는 여러가지

SiteOwner 2022.04.20 21:29:34
오늘인 4월 20일은 장애인의 날.
그리고 여러가지를 생각해 보고 있습니다.

학원강사로 직장생활을 하던 20대 때에 "애자" 라는 용어가 유행했습니다.
그 "애자" 라는 말은 당시에 흔히 통용되던 "장애자" 에서 유래한 것으로, 타인의 장애를 놀릴 때 쓰는 말이기도 하면서 또한 자신의 능력부족을 비하하는 어휘이기도 했습니다. 이를테면 "전 과학애자인데요" 라고 말하는 것이 과학 성적이 안 좋다는 것을 의미하는 표현이었습니다. 그런 말을 써서는 안되는 이유를 학원생들에게 이야기하자 학원내에서는 그런 말이 쓰이지 않게 되었습니다. 다행히도 오늘날에는 문제의 "애자" 라는 말이 사어가 된 것 같습니다.

병을 달고 사는 것은 아니었지만, 아프면 심하게 앓는 경우가 있었다 보니 장애에 대한 두려움도 늘 있었습니다.
그리고 1996년과 2007년은 자력으로는 몸을 가눌 수 없을 정도로 장기투병을 했습니다.
15년 전의 장기투병은 골격의 손상까지 있었던 큰 사건이자 저의 일상 및 대인관이 크게 바뀐 계기이기도 합니다. 그나마 최소 2년 이상의 재활이 필요하다는 통설을 깨고 반년만에 재활에 성공했다 보니 그 이전보다는 자신감은 확실히 늘었습니다.
15년 전의 투병생활 당시는 사실 기억이 잘 나지는 않습니다. 깨어 있던 시간 자체가 하루의 1/4도 안 되었는데다 그나마 눈을 뜨고 있을 때도 계속 투여되는 약으로 의식이 희미하다 보니, 죽어간다는 것은 이런 것을 말하는구나 하고 혼자 탄식한 적도 있었습니다.

그 두 해의 장기투병 때 병상생활을 했던 게 반년이 좀 넘고 그때만큼은 없는 사람이 된 것 같아서 그게 힘들 때도 있고 그렇습니다. 그러나 그 시기가 헛되이 지나갔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병상에서 보냈던 나날이 있었기에 지금의 저는 과거의 저보다 주변을 좀 더 생각하고 살피는 사람이 될 수 있었다고 믿으니까. 그리고 누구나 장애를 가질 수 있고 저 또한 그랬다 보니 장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해야 하는지는 마냥 남의 일이 아니고 자신의 실존의 문제라는 것을 더욱 잘 느끼고 있습니다.